불안·혐오를 삼켜 버리는 한일 소설가… 강화길·무라타 사야카 인터뷰
혐오 범죄·성폭력 집요하게 추적
강화길 “글로 서로 연결됨을 느껴”
성적 피해 겪었던 무라타 사야카
“소설은 내게 구원이자 종교죠”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호텔에서 만난 소설가 강화길(왼쪽)과 무라타 사야카가 마주 보며 미소 짓고 있다. 박윤슬 기자
두 사람은 최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 앞서 지난달 25일 서울국제작가축제에서 ‘불안과 매혹 사이’라는 주제로 대담을 벌였다. 행사를 마친 소회를 묻자 두 사람은 같은 지점을 바라보고 글을 쓰는 작가를 만난 것에 대한 기쁨을 감추지 않았다. 강 작가는 “다른 나라에 살아도 글을 쓴다는 점으로 연결될 수 있어 기뻤다. 여성이 처한 현실 등에 대해 (무라타 작가가) 느낀 점들이 한국에서 소설을 쓰고 있는 제가 느끼고 있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했다. 무라타 작가는 “공명(共鳴)을 느꼈으며 소설에 성실하게 임하는 강 작가의 태도와 여성, 젠더, 불온함이라는 주제 이상의 큰 시선에 감명받았다”고 답했다.
두 사람은 유독 소설 제목에 ‘사람’, ‘인간’이란 말을 반복해 넣었다. 강 작가가 ‘괜찮은 사람’, ‘다른 사람’ 등을 통해 성폭력, 혐오 범죄, 데이트 폭력 등 여성에게 가해지는 수많은 폭력의 형태를 날카롭고 집요하게 추적했다면, 무라타 작가는 ‘편의점 인간’, ‘지구별 인간’ 등을 통해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했다.
무라타 작가는 자신의 구원이자 종교인 ‘소설’에 닿게 된 이야기를 하면서 어린 시절을 꺼냈다. 성적 피해를 겪고 어머니로부터 저주에 가까운 말을 듣고 자라며 ‘죽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시절이다. “목숨을 부지할 수 있게 한 건 상상 속 친구 30명”이라고 한 그는 “그중 5~6명 정도가 아직 남아 있고 제가 소설을 쓸 때 여러 영감을 준다”고 했다. “한 꺼풀 벗겨 낸 곳에 불편한 진실, 저를 갉아먹고 있는 것들의 정체가 그곳에 있다고 생각해 닿고 싶었다”면서 “소설은 제게 교회 같은 것이고 신에 대한 강렬한 기도처럼 홀린 듯 소설을 써 왔다”고 설명했다.
강 작가는 “지금 현재 자신에게 진실되고 중요하며 외면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쓰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했다.
두 사람은 우리 주변에 만연한 남녀 또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폭력을 그린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소설을 쓰는 과정은 판이하다. 강 작가는 “커다란 점토 덩어리를 매만지며 떼어 내는 과정을 거친다”며 “초고를 빨리 쓰고 오랫동안 퇴고한다. 다듬어지지 않은 발화, 인물 등 점점 작은 점토 덩어리들을 떼어 낸다”고 소개했다. 이어 “결과가 처음 생각했던 방향과 다를 때도 있지만 (소설이) 하나의 형상으로 드러나는 그 순간을 향해서 쓴다”고 덧붙였다.
반면 무라타 작가는 “빈 수조를 채우며 소설을 완성한다. 노트에 인물 스케치를 그리고 완성되면 수조 안에 주인공을 넣고, 다음에 주변 인물이나 무대 등을 담는다”며 “그렇게 되면 어느 순간 내 손을 벗어나 인물이 마음대로 움직이는 순간이 오고, 그 장면을 적어 내려간다”고 설명했다. 특별히 수조라는 표현을 선택한 이유에 관해 묻자 “바깥 공기와 다른 공기를 가진 공간이면서도 투명한 유리를 통해 그쪽 세계를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두 작가가 점토를 빚고 수조를 채워 찾아올 다음 소설은 어떤 모습일까. 강 작가는 “지금 형태를 찾기 위해 굉장히 노력 중”이라면서도 “치열하게 사는 주인공에게 용기를 주는 작품을 쓰고 싶다”고 말했다. 무라타 작가는 “오랫동안 쓰고 있고 아직 끝이 보이지 않아 언제까지 써야 할지도 모르는 작품이지만 폭력의 가해자 입장을 그린 소설을 쓰고 있다”고 밝혔다.
2022-10-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