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토해 내리라, 恨 서린 민초들의 소리

깊이 토해 내리라, 恨 서린 민초들의 소리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9-01 23:20
업데이트 2015-09-02 0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창극단 ‘적벽가’에서 열연하는 동갑내기 배우 김금미·김학용

내용과 형식, 모든 면에서 확 달라진 ‘적벽가’가 관객들을 찾아온다. 국립창극단이 창단 이후 네 번째로 무대에 올리는 ‘적벽가’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비·관우·장비·제갈공명·조조 등 영웅들 이야기가 아니다. 전장에서 스러져간 무명의 100만 군사와 그 아내·부모·아들, 민초들이 중심이다. 가공되지 않은 판소리 원음으로 민초들의 겹겹이 쌓인 한(恨)을 풀어낸다. 전쟁의 참상과 민초들의 한 서린 삶, 그리고 우리 소리의 맛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창극단의 베테랑 배우들이 전면에 배치됐다. 동갑내기 배우 김금미(50)·김학용(50)이 대표적이다.

창극 ‘적벽가’에서 100만 민초의 한을 우리 소리로 표현할 국립창극단 베테랑 배우 김금미(아래)·김학용(위)은 “‘적벽가’는 백성의 소리, 민중의 소리가 힘의 원천”이라며 “백성들의 한을 대변하는 여인들의 소리, 군사들의 통탄을 구성진 소리에 담아 무대에서 힘껏 뿜어내겠다”고 말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창극 ‘적벽가’에서 100만 민초의 한을 우리 소리로 표현할 국립창극단 베테랑 배우 김금미(아래)·김학용(위)은 “‘적벽가’는 백성의 소리, 민중의 소리가 힘의 원천”이라며 “백성들의 한을 대변하는 여인들의 소리, 군사들의 통탄을 구성진 소리에 담아 무대에서 힘껏 뿜어내겠다”고 말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김금미는 전쟁터에서 남편을 잃은 여인 역을, 김학용은 전장에서 아내와 아들을 그리워하는 군사 역을 맡았다. 둘은 “여인들과 군사들의 아픔은 다시는 되풀이돼선 안 된다”며 “맡은 배역에 최대한 감정 몰입을 하고 내부의 힘을 있는 힘껏 모두 끌어올려 ‘적벽가’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적벽가는 그간 무대화된 적이 거의 없다. 소리꾼의 기량을 드러내는 척도로 여겨질 정도로 판소리 다섯 바탕 중 가창의 난도가 가장 높기 때문이다. 창극단도 창단 이후 50여년간 단 세 차례만 공연했을 뿐이다. 1985년 허규, 2003년 김홍승, 2009년 이윤택 연출로 무대에 올랐다. “‘적벽가’는 음역이 굉장히 높아 힘이 부족하면 소리 자체를 소화할 수 없다. 여자들은 ‘적벽가’를 잘 배우려 하지 않고 배워도 쉽게 무대에 올리지를 못한다.”(김금미) “판소리 다섯 바탕 중 가장 힘든 소리여서 남자들도 제대로 소화하기 힘들다. 소리꾼들에겐 ‘적벽가’라는 장벽을 넘어보고 싶은 욕망이 항상 잠재돼 있다.”(김학용)

6년 만의 네 번째 공연은 한국 여성 오페라 연출가 1호 이소영이 연출을 맡았다. 독특하면서도 섬세한 연출로 ‘이소영표 오페라’라는 수식을 만들어낸 그의 첫 창극 도전작이다.

이소영은 “판소리 ‘적벽가’는 그 자체만으로 완벽하다”며 “‘적벽가’가 지닌 격조 높은 소리의 힘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무대를 만들겠다”고 했다. 소리에 중점을 둔 것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 예능보유자인 송순섭(79) 명창이 이번 공연의 작창과 도창을 맡은 것과 무관치 않다. 송 명창은 정통 동편제 판소리 ‘적벽가’의 대가다. 김금미·김학용은 “이번 공연은 이전 세 번의 공연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입을 모았다. “작곡이나 편곡되지 않은 순수 판소리 그대로 공연한다. 정통 판소리가 극을 이끌어가기 때문에 예전보다 집중이 더 잘된다.”

김학용은 세 번의 ‘적벽가’에 모두 출연했다. 1985년 창극단에 입단한 그해 올려진 첫 공연에선 유복 역을, 이후엔 제갈공명, 유비 역을 차례로 맡았다. 그는 “첫 공연 땐 갓 입단한 ‘초짜’여서 아무것도 몰랐다. 많이 허둥대다 아군 속에서 적군 기를 드는 실수도 했다. ‘적벽가’는 연출마다 다른 색을 내기 때문에 30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새롭다”고 했다.

김금미는 두 번째다. 2009년 작품에선 남자 ‘노숙’ 역을 맡았다. 그는 “여성국극에서 배우생활을 시작해 남자 역할이 힘들진 않았다. 6년 전보다 더 편한 마음으로 공연에 임하고 있다”고 했다.

신분도 바뀌었다. 둘 다 가정을 이루고 어머니·아버지가 됐다. “처녀·총각 때와 달리 어머니·아버지로서 자식을 길러 봐서 전쟁터에서 아내와 아들을 그리워하는 남편, 전장에 나간 남편을 그리워하는 아내의 한 서린 마음을 더 짙게 표현할 수 있다.”(김금미·김학용)

김금미는 1999년 입단해 ‘장화홍련전’ 계모, ‘수궁가’ 토끼 등을 맡았다. 한국무용을 전공한 뒤 1997년 늦은 나이에 판소리를 시작했지만 전주대사습놀이에서 판소리 장원 대통령상을 받는 등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김학용은 입단 이후 흥부가, 심청가, 춘향가 등 30년간 창극단의 여러 작품에서 각양각색의 배역을 열연했다. 영화 ‘춘향전’에서 방자 역으로 출연하는 등 ‘코믹 캐릭터’의 대명사로 통한다. 오는 15~19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2만~7만원. (02)2280-4116~6.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9-02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