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신의 흔적, 추상화

정신의 흔적, 추상화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1-22 18:06
업데이트 2017-01-22 18: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추상회화 거장의 60년 화업 ‘윤명로, 그때와 지금’

회화 중에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추상회화라는 사람들이 많다. “너무 어렵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런 것 나도 그릴 수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한국추상회화의 거장 윤명로(81) 화백에게 추상회화가 뭔지 물어봤다.

거대한 자연의 응축된 에너지를 담아낸 윤명로 화백의 작품 ‘익명의 땅’ 연작 전시 전경. 윤 화백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드는 추상회화는 화가의 ‘정신의 흔적’이라고 말했다.
거대한 자연의 응축된 에너지를 담아낸 윤명로 화백의 작품 ‘익명의 땅’ 연작 전시 전경. 윤 화백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드는 추상회화는 화가의 ‘정신의 흔적’이라고 말했다.
“중국현대미술제에 작품을 냈는데 제목을 붙이라고 하기에 ‘숨결’이라고 붙였어요. 보이지도 않는 것을 어떻게 그리느냐는 질문을 받았죠. 추상이란 그런겁니다. 그렇게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일 수 있게 공간을 열어 주는 것입니다.”

그는 “추상화가란 마음의 세계를 그리는 화가이고, 추상화는 연실처럼 자기 감정을 감았다가 풀었다가를 반복하는 정신의 흔적”이라고도 했다. 화백의 60년 화업을 통해 추상화가의 작업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윤명로, 그때와 지금’전이 서울 인사동 인사아트센터 전관에서 열리고 있다.

미술대학을 졸업하던 1960년 미술가협회 창립멤버로 권위적인 국전 중심의 화단에 도전하며 덕수궁 담벼락에 획기적인 전시를 주도해 당시 미술계에 큰 이슈를 제기했던 그다. 1969년 미국 록펠러재단의 후원으로 프랫그래픽센터에서 판화를 공부한 뒤 한국 현대판화의 초기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 그는 이후 독자적인 추상회화 세계를 구축한 뒤 지금까지 ‘마음의 세계를 그리는’ 한국 추상회화의 대표작가로 살아왔다.

이번 전시에는 1960년대 초기작을 시작으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10년을 주기로 변모하는 윤 화백의 대작 추상회화 60여점이 소개되고 있다. 1956년 대학시절 그린 유화작품도 오랫동안 쌓였던 먼지를 털고 전시장에 걸렸다.

전시장에서 만난 화가는 60년 넘게 그림을 그렸음에도 “텅 비어 있는 커다란 캔버스를 마주하면 막막할 때가 많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그 큰 화면을 어떻게 다 메웠을까.

“붓을 들어 첫 점을 떼고 나면 공간이 마구 흔들리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아요. 보이지 않던 형과 색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다음엔 그 흔들림을 따라가지요. 붓질 하나를 던져 놓으면 그와 상대적인 위치에서 또 붓질을 기다리는 것 같고, 균형과 조화를 찾으려는 추상적인 힘을 따라가다 보면 화면이 점점 채워집니다.”

윤명로 화백
윤명로 화백
그렇게 채워진 정신의 흔적들이 전시장을 채우고 있다. 본전시장에는 조선 후기 진경산수를 창안한 겸재 정선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겸재 예찬’ 연작과 그 연장선에서 작업한 최근작을 선보인다. 겸재 연작은 마치 거대한 설산을 그려 놓은 듯하다. 제2전시장에서는 자연과의 깊은 교감을 통해 세상을 관조하며 무위의 경지에 도달한 숙성된 추상회화를, 제3전시장에서는 거대한 자연의 응축된 에너지를 화폭에 담아낸 강렬하고 역동적인 작품 ‘익명의 땅’ 연작이 전시된다. 제4전시장에서는 연을 날릴 때 쓰이는 얼레와 그 행위를 나타내는 1980년대의 ‘얼레짓’ 연작을, 제5전시장에서는 유럽의 앵포르멜에 영향을 받은 1960년대 초기 작품과 우연의 효과에 작가의 의도가 개입된 1970년대 ‘균열’ 연작을 볼 수 있다.

그가 지금껏 마음으로 찾아다닌 주제와 작업 방식, 재료는 이렇듯 변화무쌍하다. 최근의 작품은 철물점에서 2000원을 주고 구입한 싸리빗자루를 사용해 완성한 것들이다. “물이 잔잔한 마당을 빗자루로 쓸다 보니 너무 아름다웠어요. 당장에 철물점에 달려가서 빗자루를 사다가 작업에 사용했는데 가는 가지가 주는 느낌이 아주 좋았지요. ‘익명의 땅’ 연작에서는 흙손을 사용해 굵고 강렬한 효과를 냈다. 그는 “마음속에 일어나는 격정을 가는 붓으로 표현하기엔 한계가 있어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다”면서 “한곳에 오랫동안 머물고 싶지 않아 계속 새로운 주제와 정신을 찾아가다 보니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잠시 실험적으로 작업한 것 외에는 앵포르멜 그룹에도, 단색화그룹에도 속하지 않은 채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하며 독자적으로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해 왔다. 전속 화랑도 없다. “그림이란 것이 이념이나 집단지성에 의해 획일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작가란 외롭게 작업해야 하고, 제가 생각하는 것을 모두 그리기에도 시간이 너무 없거든요.”

가나문화재단의 원로작가 조명 시리즈의 일환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3월 5일까지.

글·사진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1-23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