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가객’ 김광석의 석연치 않은 죽음에 대한 논란이 최근 불거지는 가운데 그를 추억하는 작품이 잇따라 무대에 오른다. 강렬했던 인생만큼 사람들에게 진한 그리움을 남기고 간 그의 노래는 세월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 사이에서 애창되고 있다. 그의 주옥같은 노래를 활용한 작품이 줄이어 공연되는 만큼 저작권 역시 관심사다. 현재 김광석의 부인 서해순씨가 김광석의 창작물에 대한 권리 대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협의가 쉽지 않아 뮤지컬의 경우 다른 아티스트가 작사·작곡하고 김광석이 부른 노래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올해 첫선을 보이는 창작 뮤지컬 ‘서른즈음에’(10월 20일~12월 2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삼성홀)는 김광석이 부른 ‘서른즈음에’를 작사·작곡한 강승원의 대표곡들로 이뤄진 주크박스 뮤지컬이다. 2017년 팍팍한 삶의 무게를 견디고 있는 중년의 현식이 1997년 꿈과 사랑을 찾는 스물아홉의 청년 현식을 돌아보며 지나간 시간을 추억하는 내용이다. 이번 작품은 김광석이 부른 노래의 제목을 그대로 따왔지만 사실 김광석의 개인적인 삶과는 무관하다.
공연 관계자는 “대중에게는 낯선 이름이지만 아티스트들에게 존경받는 작곡가인 강승원의 음악 세계를 조명하고자 이 작품을 기획했다”며 “지난 3월 발매된 강승원 작곡가 1집 앨범에 수록된 곡들을 중심으로 꾸며진다”고 설명했다. ‘서른즈음에’를 비롯해 이적의 ‘나는 지금…’, 자이언티의 ‘무중력’, 윤도현의 ‘오늘도 어제 같은 나는’ 등 강 작곡가가 작사·작곡한 노래들로 구성돼 있다. 제작사는 처음 ‘서른즈음에’라는 작품 제목이 김광석의 노래들로만 이뤄진 주크박스 뮤지컬로 비칠 수 있는 소지가 있어 고심했으나 다시 돌아가고 싶은 시간을 그리워하는 작품의 내용이 가사와 맥락이 비슷한 만큼 이 제목을 사용하게 됐다.
뮤지컬 ‘그 여름, 동물원’(11월 7일~2018년 1월 7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은 김광석과 그가 몸담았던 그룹 동물원 멤버들의 첫 만남부터 이들이 뮤지션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동물원의 원년 멤버 김창기가 김광석의 기일을 맞아 오래된 연습실을 찾으면서 시작되는 이 작품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1988년 김광석과 멤버들의 실제 이야기를 담았다. 출연 배우들이 ‘거리에서’,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널 사랑하겠어’, ‘변해가네’ 등 동물원의 명곡들을 라이브로 선보인다.
공연 관계자는 “이번 작품에 사용되는 곡 중 김광석씨가 작사·작곡한 노래는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음원 저작권과는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작품의 제작사는 초연 당시 극중 등장하는 ‘김광석’을 지난해부터 ‘그 친구’로 고쳐 사용하고 있다. 김광석 이름에 대한 성명권을 가지고 있는 서씨 측에서 지난해 지적을 해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품을 홍보할 때도 ‘김광석’이 아닌 ‘고 김광석’이라고 명기하는 등 홍보 문구 사용에 신경을 쓰고 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뮤지컬 ‘서른즈음에’.
공연 관계자는 “대중에게는 낯선 이름이지만 아티스트들에게 존경받는 작곡가인 강승원의 음악 세계를 조명하고자 이 작품을 기획했다”며 “지난 3월 발매된 강승원 작곡가 1집 앨범에 수록된 곡들을 중심으로 꾸며진다”고 설명했다. ‘서른즈음에’를 비롯해 이적의 ‘나는 지금…’, 자이언티의 ‘무중력’, 윤도현의 ‘오늘도 어제 같은 나는’ 등 강 작곡가가 작사·작곡한 노래들로 구성돼 있다. 제작사는 처음 ‘서른즈음에’라는 작품 제목이 김광석의 노래들로만 이뤄진 주크박스 뮤지컬로 비칠 수 있는 소지가 있어 고심했으나 다시 돌아가고 싶은 시간을 그리워하는 작품의 내용이 가사와 맥락이 비슷한 만큼 이 제목을 사용하게 됐다.
뮤지컬 ‘그 여름, 동물원’.
공연 관계자는 “이번 작품에 사용되는 곡 중 김광석씨가 작사·작곡한 노래는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음원 저작권과는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작품의 제작사는 초연 당시 극중 등장하는 ‘김광석’을 지난해부터 ‘그 친구’로 고쳐 사용하고 있다. 김광석 이름에 대한 성명권을 가지고 있는 서씨 측에서 지난해 지적을 해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품을 홍보할 때도 ‘김광석’이 아닌 ‘고 김광석’이라고 명기하는 등 홍보 문구 사용에 신경을 쓰고 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9-2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