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 목격한 러시아 건축가, 그의 흔적 만나네

명성황후 시해 목격한 러시아 건축가, 그의 흔적 만나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10-19 20:54
수정 2020-10-20 0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덕수궁서 한러 수교 30주년 특별전
사바틴이 남긴 기록·건축물 소개

이미지 확대
정재숙(오른쪽) 문화재청장과 안드레이 쿨리크(왼쪽) 주한 러시아 대사가 19일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정재숙(오른쪽) 문화재청장과 안드레이 쿨리크(왼쪽) 주한 러시아 대사가 19일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1895년 10월 8일 새벽 경복궁 곤녕합에서 자행된 일본군과 낭인 집단의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목격한 러시아 건축가 아파나시 이바노비치 세레딘 사바틴(1860~1921)이 남긴 기록과 건축물을 소개하는 특별전이 열린다.

문화재청은 한국과 러시아 수교 30주년을 기념하는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맞아 ‘1883 러시아 청년 사바틴, 조선에 오다’ 전시를 19일부터 11월 11일까지 덕수궁 중명전에서 연다. 사바틴은 1883년 인천해관 직원으로 입국해 1904년 러일전쟁 후 조선을 떠날 때까지 제물포항의 부두를 축조하고, 조선의 궁궐 건축물과 러시아공사관 등 정동 일대 근대 건축물의 설계와 공사를 맡았다.

전시는 사바틴이 그린 명성황후 시해 장소 약도와 당시 상황을 기록한 증언서를 영상으로 소개하는 프롤로그로 문을 연다.

1부 ‘조선에 온 러시아 청년 사바틴’에서는 인천해관 근무, 한성 궁궐 건축 등 사바틴의 국내 활동 사항과 아울러 1884년 7월 7일 체결한 조러수호통상조약 조선 측 비준 문서 사진이 공개된다.

2부 ‘러시아공사관, 사바틴의 손길이 닿다’에서는 한국 주재 러시아 대리공사 베베르가 주도해 설계안을 마련했지만, 예산 문제로 실현되지 못했던 러시아공사관을 사바틴이 설계를 수정해 완성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3부 ‘사바틴, 제물포와 한성을 거닐다’에선 제물포구락부, 독립문, 손탁호텔, 덕수궁 중명전·정관헌, 경복궁 내 관문각 등 사바틴이 건설에 참여했거나 관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의 모형과 사진을 소개한다.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 유튜브(www.youtube.com/chluvu), 다음 갤러리 등에서 온라인 전시도 진행된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10-2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