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콕! 이 전시]우향 박래현 판화전/홍일화·이재형 ‘Human & Nature’

[주말 콕! 이 전시]우향 박래현 판화전/홍일화·이재형 ‘Human & Nature’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11-14 10:00
수정 2020-11-14 1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래현 ‘새벽’. 청작화랑 제공
박래현 ‘새벽’. 청작화랑 제공
우향 박래현 판화전 WITH 운보 김기창; 12월 5일까지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 청작화랑.

우향 박래현(1920~1976)은 추상화, 태피스트리, 판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독창적인 활약을 펼쳤던 당대 최고 예술가 중 한 명이다. 하지만 화단의 선배이자 남편인 운보 김기창(1913~2001)의 그늘에 가려 예술가로서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탄생 100주년인 올해 국립현대미술관이 대규모 회고전 ‘박래현, 삼중통역자’(내년 1월 3일까지 덕수궁관)를 통해 그의 예술 세계를 뒤늦게나마 집중적으로 재조명한 건 다행한 일이다.

두 작가와 오랜 인연이 있는 청작화랑이 1988년 김기창·박래현 부부전, 2018년 박래현 판화전에 이어 세 번째 전시를 마련했다. 동판을 긁고 파서 만든 박래현의 동판화 에칭 작품 23점과 운보의 한국화 8점 등 총 31점을 전시장에 걸었다. 동판화 에칭 작업은 박래현이 암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6년간 뉴욕에서 열정을 불태우던 시기에 제작한 것이다. 섬세하고 풍부한 감성과 현대적인 조형미가 조화를 이룬다. 박래현은 생전 100여 장의 판화를 남겼는데 이번 전시작 중에는 처음 공개되는 작품도 있다.

김기창의 작품 가운데도 미공개 그림이 있다. 석류나무 위에서 다람쥐들이 노니는 모습을 그린 1969년작 ‘석류와 다람쥐’다. 김기창이 박래현에게 특별히 선물한 것으로, 박래현이 생전 소중하게 간직했던 작품이라고 한다. 아내를 잃은 슬픔을 담은 ‘바보산수’에서도 부부의 애틋한 사랑이 느껴진다.
홍일화, ‘곶자왈’. 쉼박물관 제공
홍일화, ‘곶자왈’. 쉼박물관 제공
이재형, ‘페이스 오브 시티(face of city). 쉼박물관 제공
이재형, ‘페이스 오브 시티(face of city). 쉼박물관 제공
홍일화·이재형 ‘Human & Nature’; 12월 31일까지 서울 종로구 세검정로 쉼박물관.

사람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물리적인 변화를 겪으며 삶의 시작과 끝을 맺는다. 자연 역시 시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아래 변화를 겪는다. 쉼박물관이 기획한 전시는 가장 근원적인 주제인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해 돌아본다.

홍일화 작가는 영혼의 안식이자 편안한 쉼터가 되는 숲을 소재로 한 작품을 선보인다. 지난해 봄 제주도 곶자왈의 풍경으로 자연에서만 느낄 수 있는 햇살의 아름다움과 천연의 숲을 인상적인 붓질로 그려냈다. 이재형 작가는 인간의 감정과 정보를 시각화하는데 관심이 많다. 수많은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해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얼굴의 표정을 형상화하거나 3D프린터로 제작한 말의 모형에 LED로 문자를 새기는 작품을 출품했다.

박물관 측은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와서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우리 옛 선조들의 철학을 다시금 바라볼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