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불화 속 서양 화풍 이색적이네”…이건희 컬렉션서도 3점 첫선

“조선 불화 속 서양 화풍 이색적이네”…이건희 컬렉션서도 3점 첫선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4-02-21 13:30
업데이트 2024-02-21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극락에서 설법하는 아미타불 , 축연,  조선 19~20세기 무렵,  비단에 채색,  169.0×199.0cm
극락에서 설법하는 아미타불 , 축연, 조선 19~20세기 무렵, 비단에 채색, 169.0×199.0cm
금강산 유점사에 머무르며 전국적으로 작품을 남긴 19~20세기 대표 화승 고산 축연. 가로 169㎝, 세로 199㎝ 크기의 비단 화폭에 채색한 그의 작품 ‘극락에서 설법하는 아미타불’ 속 인물들을 보면 얼굴 이목구비나 몸의 양감 등에서 서양화의 음영법을 활용한 입체감이 돋보인다. 조선 불화 전통을 이으면서도 새롭게 유입된 서양 화풍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근대기 불교 회화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7월 21일까지 상설전시관 2층 불교회화실에서 이런 표현 양상을 짚어볼 수 있는 19~20세기 대표 화승들의 불교 회화와 초본 23건 37점을 소개한다.
이미지 확대
쌍월당 대선사 초상,  축연,  조선 19~20세기 무렵,  비단에 채색,  181.5×89.3cm
쌍월당 대선사 초상, 축연, 조선 19~20세기 무렵, 비단에 채색, 181.5×89.3cm
축연의 또 다른 작품 ‘쌍월당 대선사 초상’에서는 그림 안 족자에 그가 직접 적어넣은 당호(幢號·불교에서 스승에게 법맥을 이어받을 때 받는 법호) ‘혜산’(蕙山)을 볼 수 있다. 화승이 자신의 이름을 작품에 남기는 것은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다. 이는 축연이 스스로를 예술 창작 주체로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개성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2021년 기증된 ‘이건희 컬렉션’ 속 근대 불교 회화 3점도 처음 공개된다. 19세기 중반 전라도 지방에서 활동한 도순이 1854년 그린 ‘자비로 중생을 구제하는 관음보살’에는 거세게 굽이치는 파도 위 솟아오른 바위에 편히 앉아 있는 수월관음의 모습이 담겼다. 19세기를 대표하는 화승 천여가 1843년에 그린 ‘제석천’도 함께 나왔다. 작은 화면에 먹으로 동자, 옥졸, 판관 등 명부 관련 불화에 등장하는 하위 권속의 모습을 빼곡하게 그린 ‘불화 밑그림’에서는 근대 불화승들의 일상적인 작업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자비로 중생을 구제하는 관음보살,  도순,  조선 1854년,  비단에 채색,  169.0×110.0cm
자비로 중생을 구제하는 관음보살, 도순, 조선 1854년, 비단에 채색, 169.0×110.0cm
김영희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기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불교와 불교미술의 위상과 환경도 바뀌던 때”라며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 불교 미술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요소를 적극 받아들여 환경에 적응해나가던 근대 불교 회화를 통해 오늘날의 불교미술에 이르기까지 시도된 다양한 노력을 만나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정서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