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암병원 “항암치료 적합 환자 선별 기술 개발”

연세암병원 “항암치료 적합 환자 선별 기술 개발”

입력 2018-03-20 14:30
수정 2018-03-20 1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3기 진행성 위암 환자가 수술 후 항암치료가 필요한지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노성훈 연세암병원장과 정재호 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 교수팀은 2000∼2010년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 28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위암 관련 특정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분석하면 미리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란셋 온콜로지’에 실렸다.

현재 2~3기 위암 환자는 2012년 발표된 클래식(CLASSIC) 임상시험 결과에 따라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 게 표준치료법이다. 그러나 모든 진행성 위암에서 동일한 항암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위암의 유전자 발현 특성에 따라 수술 후 항암제에 대한 효과가 다르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위암을 면역형(IM), 줄기세포형(ST), 상피형(EP)의 3가지 유전자형으로 나눌 경우 면역형과 줄기세포형은 항암제 치료 후 예후가 좋아지지 않았던 반면 상피형은 항암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봤다.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항암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선별하면 환자들의 삶의 질도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 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하면 수술 후 예후가 좋고 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은 굳이 항암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게 된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진행성 위암 환자의 15~20%는 현행 표준 항암치료를 받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