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 세계 휩쓰는 ‘K클래식’ 열풍…함께 다가온 ‘K’의 짙은 그림자[지금, 이 영화]

전 세계 휩쓰는 ‘K클래식’ 열풍…함께 다가온 ‘K’의 짙은 그림자[지금, 이 영화]

입력 2022-09-04 20:40
업데이트 2022-09-05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클래식 제너레이션

이미지 확대
문득 궁금해졌다. 독특한 현상이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유사한 사례가 너무 많았다. 어느새 그것은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잡은 게 아닌가.

이렇게 벨기에 공영방송 음악감독 티에리 로로는 생각했다. 그는 20년 넘게 클래식 국제 콩쿠르를 중계해 왔다. 그래서 클래식계의 두드러진 변화를 누구보다 확실하게 체감할 수 있었다. 이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자. 결심한 그는 2012년 ‘한국 클래식의 수수께끼’를 제작했다.

하지만 아쉬움이 남았던 모양이다. 8년 뒤 후속편 ‘K클래식 제너레이션’(사진)은 그렇게 탄생했다. 외국인의 시각으로 클래식계 한류를 조명한 이 작품을 한국 관객은 어떻게 받아들일까.

그의 문제의식은 영화 초반부에 내레이션으로 제시된다. “국제 주요 음악 경연에서 한국인의 우승은 최근엔 거의 당연해졌습니다. 지난 20년간 700명이 결선에 올랐고 그중 110명이 우승을 차지했죠. 이러한 성공을 국제적 인기의 케이팝에 비유해 K클래식이라고도 부릅니다. 클래식에 대한 한국인들의 각별한 사랑은 무엇 때문일까요? 이렇게 빨리 정상급에 오른 비결과 그 간절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우승한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 소프라노 황수미 등을 중심으로 이와 같은 질문의 답을 찾아 간다.

인터뷰에서 밝힌바 그는 세 가지 요인을 거론한다. 개성을 표현하도록 장려하는 자유로운 분위기, 후배들의 롤모델이 돼 주는 유명 연주자들의 활약, 한국예술영재교육원으로 대표되는 국가의 집중 지원이다.

그러한 내용을 보다 보면 클래식을 잘 모르는 관객이라도 한국에 자부심이 생길 법하다. 문화 강국으로 거듭난 우리나라의 위상에 가슴이 뿌듯해진다.

그런데 영화를 다 보고 나면 마음 한편이 서늘하다는 사실을 감추기 어렵다. 긍정적인 인터뷰와 달리 영화에서는 K클래식의 그림자까지 함께 어른대는 까닭이다. 불편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다큐멘터리에 기대하는 균형 감각의 미덕이기도 하다.
이미지 확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그가 꼽은 K클래식의 어두운 면 가운데 하나는 1등에 대한 집착이다. 1등을 하지 않으면 주목받을 수 없고 도태된다는 위기감이 한국 연주자 사이에 만연하다. 클래식을 예술로서 즐기기보다는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논리로 접근하는 풍토. 분명 클래식계에 관한 지적이다. 그러나 그의 비판이 거기에만 국한되지는 않는 것 같다.

한 가지 더 꼽자면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고정적 이미지에 사로잡혀 서구를 추종하거나 비난하는 태도)과 연관된 인정 욕구를 들 수 있다. 유럽에서는 쇠퇴하는 클래식이 왜 한국에서 부흥할까? 클래식 선율이 아름다워서라는 답변도 물론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것이 다는 아니다. (서구) 세계의 보편에 우리가 도달해 그들에게 거듭 인정받아야 한다는 욕망 역시 깔려 있다. 빛이 강렬할수록 그늘도 짙다. K클래식을 포함해 오늘날 유행하는 모든 K에 적용되는 격언이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 칼럼니스트
2022-09-05 2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