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첫 앨범 ‘MOZART’ 발매…내년 1월 전국 투어

유니버설뮤직·마스트미디어 제공

지난 24일 서울 강남구 오드포트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진 피아니스트 선우예권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유니버설뮤직·마스트미디어 제공
유니버설뮤직·마스트미디어 제공
2017년 미국 밴 클라이번 국제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을 거머쥔 뒤 활발히 활동해 온 피아니스트 선우예권이 첫 앨범을 냈다. 데카 레이블을 통해 지난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독일 노이마르크트에서 닷새간 녹음한 앨범은 ‘모차르트’를 주제로 한다. 피아노 소나타 8·10·11·13·16번과 아다지오, 론도, 판타지 등을 CD 두 장에 담았는데 대부분 귀에 익은 곡들이라 더욱 편안하게 들린다.
그동안 슈베르트나 브람스, 슈만, 라흐마니노프 등으로 주로 무대에 섰던 터라 첫 앨범으로 모차르트는 쉽게 연결이 되지 않았는데, 선우예권은 ‘처음’을 떠올렸다고 했다. 15세에 미국으로 유학을 간 뒤 커티스음악원 동료들에게 처음 인정받게 해 준 소나타, 첫 스승(시모어 립킨)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가, 밴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 당시 가장 특별하다는 호응을 얻은 피아노 협주곡. 그가 한 발자국씩 오를 때마다 계단이 돼 준 건 모차르트였다.
“항상 사랑하는 작곡가이지만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앨범을 준비하려고 보니 마음이 편안해지는 거예요. 갑자기 가까운 사이가 된 느낌도 들고요.”

유니버설뮤직·마스트미디어 제공

24일 서울 강남구 오드포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앞서 피아니스트 선우예권이 첫 앨범 ‘모차르트’ 수록곡을 연주하고 있다.
유니버설뮤직·마스트미디어 제공
유니버설뮤직·마스트미디어 제공
두 장의 CD를 놓고 첫 번째 CD엔 피아노 소나타 10, 13, 11번을 차례로 넣고 두 번째 CD엔 글래스 하모니카를 위한 아다지오, 판타지 c단조, 피아노 소나타 16번, 판타지 d단조, 피아노 소나타 8번, 론도 a단조를 각각 넣었다. “첫 번째 CD는 낮 시간에 편안하게 들으실 수 있고 아침에 일어나서 어느 정도 마음이 정화되며 기분좋게 시작할 수 있는 느낌의 음악들이고, 두 번째 CD는 저녁에 약간은 공허할 수도 있고 우울하다면 우울할 수도 있는 혼자 만의 시간에 자연스럽게 흘러들을 수 있는 음악들이에요.” 작품 순서가 아닌 그저 그가 청중들과 나누고 싶은 감정들을 모아 분류했다는 설명이다.
8월 국내 소속사를 옮긴 선우예권은 내년 1월 전국 투어 리사이틀을 갖고 또 한 번 발을 넓히지만 다른 의미로도 모차르트가 도약의 계기가 됐다. 코로나19로 몰아친 불확실의 소용돌이 속에서 마비라도 된 듯 피아노마저 멀리했던 시간들을 언급하며 “죽어 있는 것 같았다. 다시 피아노 건반을 누르는 순간 살아난 것 같았고 그래서 제가 음악을 멈출 수 없다는 것과 왜 음악을 하는지가 분명해졌다”고 했다. 숨을 쉬듯 살아 있음을 깨닫게 해 주는 음악 속 다양한 감정을 자신의 모차르트와 함께 나누길 바란다고, 선우예권은 다시 빛나는 눈으로 말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