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라스트맨’ 무대. 네오프로덕션 제공
지구에 나 혼자만 살아남았다면 얼마나 외로울까. 그런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그 깊은 고독감을 종종 경험하고 산다. 비대면이 일상화됐고 혼자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스스로 외로워지길 택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좀비들이 득실거리는 세상에서 B-103 방공호에 지구 최후의 생존자가 산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좀비 바이러스가 출몰해 좀비들의 숫자가 늘어나 결국 인류가 멸망한 와중에 살아남은 사람이다. 좀비 사태를 예견한 생존자는 지하 방공호에서 1년을 버틸 수 있는 식량과 물을 마련해 힘겹게 생존을 이어 나간다. 그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1인극 뮤지컬 ‘더 라스트맨’은 제목 그대로 인류 최후 생존자의 치열한 생존기를 그린 작품이다. 생존자는 바깥세상과 단절된 채 어떻게든 살아 내보려 하지만 자원이 제한된 터라 시간은 그의 편이 아니다. 또 다른 생존자를 찾아 통신을 시도하지만 어떤 대답도 돌아오지 않는다. 외로움을 유일하게 버틸 수 있는 힘은 인형 ‘존버’뿐이다.
‘더 라스트맨’이 설정한 세계는 의미를 모르고 보면 그저 황당하게만 다가온다. 좀비가 득실거려 생존자가 혼자 남았다는 사실도 대단히 비현실적이다.
그러나 작품이 현실 세계를 상징한다는 점을 알게 나면 무릎을 ‘탁’ 치게 된다. 좀비라는 극단적인 장치를 들여왔지만 좀비를 떼놓고 보면 소통이 단절된 채 고립된 생활을 하면서 외부로 향한 문을 굳게 걸어 잠근 채 살아가는 한 사람이 보인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누구나 지닌 자화상이다.
암담한 현실을 견뎌내는 힘은 결국 희망이다. 어딘가에 존재할 다른 생존자를 향해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라고 건네는 말은 관객들의 마음을 깊게 찔러 들어온다. 우리를 간절히 찾고 이야기를 들어주려는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 혼자인 것 같은 세상이어도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위로가 관객들의 마음을 매만진다.
주변 인물 없이 1인극으로 만든 점이 작품의 매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메시지 전달에 효과를 발휘한다. 외롭지 않으려고 휴대전화로 라이브방송을 하는 장면은 요즘 시대의 소통 방식을 제대로 담아내면서 비현실적인 설정의 작품을 더 현실적으로 느끼게 한다. 배우마다 다른 서사로 매 공연 새로운 뮤지컬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작품을 여러 번 보게 만드는 요소다.
5월 26일까지. 서울 종로구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스콘 1관에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