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인 교사 윌리엄 길모어, 서울을…】 윌리엄 길모어 지음 살림 펴냄
거울을 본다. 거짓말 못 하는 거울은 도무지 생경한 모습의 인물 하나를 비춰 낸다. 제 눈으로 보기엔 낯설고 인정하기 싫을지 몰라도, 거울에 비친 인물 또한 엄연한 자기 자신이다. 남들이 바라보는 스스로의 모습, 그게 바로 거울 속의 인물이다.외국인들이 보는 우리나라는 우리가 보았던 것과 얼마나 다를까. 우리 스스로의 모습은 또 어떻게 비춰졌을까. 1880년대 말 한국과 한국 사회를 바라본 외국인들의 시선을 담은 책이 나왔다. ‘서양인 교사 윌리엄 길모어, 서울을 걷다 1894’(윌리엄 길모어 지음, 이복기 옮김, 살림 펴냄)다. ‘그들이 본 우리’ 시리즈의 12번째 책.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지은이는 1886∼1889년 한국 최초의 근대식 공립교육기관인 육영공원에서 교사를 지낼 당시 한국에서 보고 들은 것을 행정·관습·언어·놀이 등의 14가지 주제로 나눠 정리했다. 꼼꼼하고 정확한 내용 덕에 이 책은 당시 한국을 찾은 서양인들에게 최단시간에 한국을 파악할 수 있는 안내서 역할을 했다.
‘예상했던 대로’ 책은 오늘날 우리도 쉽게 상상하지 못할 만큼 색다른 당시 한국을 담아낸다. “한국인의 지위는 담뱃대의 길이로 대강 분별이 가능하다는 한 여행객의 말은 옳다. 관리는 담뱃대 통에 손이 닿지 않아서 성냥으로 불을 붙이지 못한다.
그래서 지위가 높은 사람은 하인을 시켜 담뱃대를 채우고 불을 붙인다.”거나 “이 시기 서울에서는 가까운 두 친구가 말을 타고 거리를 지나면서 마주쳐도 말을 걸지 않고 서로를 아는 체하지 않았다.”는 등 우리도 미처 몰랐던 당시 실생활의 세밀한 부분까지 묘사하고 있다.
때론 ‘불편한 진실’과도 조우한다. “사람들은 멍청해 보이고, 재미가 없으며, 입을 헤벌린 채로 낯선 광경을 바라보고, 때때로 타고난 생각마저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며 한국인을 혹평하기도 하고 “정부 운영에 참여할 학자를 선발하는 시험이 시행되지만, 이런 학자들은 대개 관리의 자녀들 중에서 나온다. 뇌물을 받은 시험관들은 뇌물 공여자의 답안지를 쉽게 찾아서 자랑스럽게 왕에게 보임으로써 높은 점수를 받게 만든다.”며 투명하지 못한 사회를 질타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정확하고 균형된 시각을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한국 사람들은 서양인을 보면 길을 양보하며 자신의 나라에 온 손님에게 예의를 표하고, 낮에는 경찰을 보지 못할 정도로 질서정연한 성품을 갖췄다고 서양인 교사는 전한다. 아울러 “한국인은 스위스에 뒤지지 않는 애국심을 가진 민족”이라며 칭찬에도 인색하지 않았다.
또 “한국인은 게으르고 생기가 떨어진다.”고 전제한 뒤 “한국인들의 게으름은 본성 때문이 아니다.
자신들의 노고의 열매를 생존에 필수적인 최소치만을 빼놓고는 만족을 모르는 부패한 관리들에게 빼앗기게 될 것이고, 자신들은 그들에게 대항하지 못할 정도로 무기력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며 원인을 정확히 보려는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1만 2000원.
시리즈 13번째 ‘미국인 교육가 엘라수 와그너가 본 한국의 어제와 오늘 1904∼1930’도 함께 나왔다. 1904년 선교사로 한국에 들어와 30년 가까이 살았던 와그너가 30년간 지켜본 한국의 모습을 담았다. 1만 4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01-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