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상인들은 아직 죽지 않았다

노예상인들은 아직 죽지 않았다

입력 2010-03-20 00:00
업데이트 2010-03-20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빼앗긴 대지의 꿈】장 지글러 지음 갈라파고스 펴냄

1967년 5월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산유량이 풍부한 유전이 있는 동부 지역의 사령관 오주쿠는 국호를 비아프라로 정하고 영토 분리를 선언했다. 종교 갈등으로, 혹은 독재에 맞선 독립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전쟁이 일어났다. 30개월 동안 지속됐다. 무려 200만명이 숨졌다. 수백만명이 크게 다쳤다. 수백개의 도시와 마을이 불탔다. 유엔인권위원회 자문위원 장 지글러에 따르면 비아프라 독립 선언은 나이지리아 석유에 대한 이권을 잃을 상황에 처한 프랑스가 충동질한 결과다. 프랑스-영국의 대리전 양상을 띤 이 전쟁은 다국적 석유기업들이 석유와 가스를 나눠 갖기로 화해하며 1970년 1월 막을 내렸다.

프랑스는 이러한 과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다음 사례에서 유추할 수 있을 것 같다. 2007년 사르코지 대통령은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 등을 방문했다. 거기에서 과거사에 대한 사과를 요구받자 과거에 대한 향수 때문이 아니라 미래를 건설하고자 왔다고 강변했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에서 세계화가 가져온 기아 문제를 고발했던 지글러는 ‘빼앗긴 대지의 꿈’(양영란 옮김, 갈라파고스 펴냄)을 통해 서양의 독선과 오만, 기만적인 태도가 남반구 사람들, 나아가 세계 사람들의 서양에 대한 증오심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한다.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고 동등하다고 소리 높였던 서양에 유린당한 나이지리아의 현재는 어떤 모습일까. 저자가 직접 지켜본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인 1억 4000만명의 인구를 자랑하고 있으나 70%가 극빈층인 나라, 하루 260만 배럴을 수출하는 세계 8위의 석유생산국임에도 석유화학제품을 100% 수입해야 하는 나라, 서방 석유재벌들의 동의 없이는 제대로 선거를 치를 수 없는 나라, 경찰의 불법이 판치는 나라, 다국적 기업들의 무분별한 석유 개발로 인한 환경파괴가 계속되는 나라, 부모는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자녀들을 노예로 팔고, 도심 한복판은 서양이 내다 버린 쓰레기로 악취가 심한 나라다.

저자는 세계화된 서양 자본이 세계무역기구,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을 비롯해 다국적 민간기업들로 구성된 용병을 이끌고, 신자유주의 이념을 무기 삼아 강요하는 현재의 지배 체제야말로 지난 500년 동안 추진된 억압 체제 가운데 가장 살인적이라고 주장한다. 저자가 인용한 울레 시엔 코트디부아르 외무장관의 말이 절절하게 다가온다. “만일 여러분들이 노예제도가 자취를 감추었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흑인들은 이제 앤틸리스 제도나 아메리카 대륙으로 가는 배에 강제로 실리는 일이 없어졌으니까요. 그들은 자기 땅에 머물러 살 수 있죠. 하지만 그들이 자기 땅에서 흘린 피와 땀에 대해서 런던이나 파리, 뉴욕에서 값을 매깁니다. 노예상인들은 죽지 않았습니다. 노예상인들은 주식투기꾼으로 모습만 바꾸었을 뿐입니다.”

원래 제목은 ‘서양에 대한 증오’(La Haine de de L’occident)다. 1만 2800원.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3-20 1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