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에서 나온 희망, 시

상처에서 나온 희망, 시

입력 2010-04-17 00:00
업데이트 2010-04-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류근 첫 시집 ‘상처적 체질’

시인 최승자는 “상처받고 응시하고 꿈꾼다. 그럼으로써 시인은 존재한다.”고 했다. 또 시인 도종환은 “상처 그 밑에서 새 살이 돋는 것처럼 희망은 스스로 균열하는 절망의 그 안에서 고통스럽게 자라난다.”고 노래했다.

이 말들처럼 시인은 그 누구보다 상처에 예민한 사람들이다. 또 이들은 자기 마음의 생채기를 헤집고 다스려 그 안에서 보편적 감성을 이끌어 낸다.

그런 점에서 시인 류근은 예리한 시인이다. 그의 첫 시집 ‘상처적 체질’(문학과지성사 펴냄)에는 긴 시간 동안 생기고 아무르고 다시 덧난, 축적된 상처 속에서 흘러 나오는 노래들이 있다. 1992년 등단 이후 어떤 지면에도 시를 발표하지 않았던 그가 18년간 쌓은 상처의 기록이다.

제목처럼 작품 속 화자는 상처에 지독히도 예민한 체질이다. 그는 빈 들녘에 피어오르는 저녁연기나 갈 길 가로막는 노을에서도 흔히 다친다. ‘내게도 부를 수 없는 상처의 / 이름은 늘 있다’(‘상처적 체질’ 중)고 고백하는 그에게는, 자신 앞에 놓인, 또 자신이 바라보는 세월 자체가 모두 상처다.

그의 상처는 많은 부분 누군가의 부재(不在)에서 온다. 시인은 ‘시인의 말’에서도 ‘진정한 지옥은 내가 이 별에 왔는데 / 약속한 삶이 끝내 오지 않는 것이다.’라고 썼다. 이처럼 시집 곳곳에는 작별로 상처 받고, 그리움으로 상처가 곪는 화자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사랑은 애절하다. ‘사랑을 만나면 젊은 오르페우스처럼 / 죽음까지 흘러가 우는 것이다 / 울어서 생애의 모든 강물 비우는 것이다’(‘벌레처럼 운다’ 중) 같은 사랑의 맹세는 통속적 연애시에 가깝다 할 정도다.

하지만 시인은 오히려 ‘내 슬픔은 삼류다.’라며 통속을 전면에 내세운다. 그러면서 그 통속(通俗)을 통해 세상(俗)과 널리 통(通)하는 보편성을 획득한다. 해설을 붙인 문학평론가 최현식도 “류근의 시는 통속의 재현이 아니라 통속미의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시집에 통속적 사랑과 그리움만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 포근한 서정성이 돋보이는 작품들 사이에는 여유로운 해학성이 묻어나는 작품도 더러 등장한다. 다음과 같은 구절에서는 웃음과 함께 전해지는 가슴 한편 찌릿함을 피할 수가 없다.

‘하루 종일 장래 희망이 퇴근이었던 나는 / 풀려난 강아지처럼 성실하게 / 아랫도리를 흔든다 /(중략) 노을 끝에 비스듬하게 내 하루 동안의 욕설이 / 내어 걸린다 아아, / 쓰벌!’(‘퇴근’ 중)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4-17 2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