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커피 마시는 것도 정치행위다

커피 마시는 것도 정치행위다

입력 2011-01-08 00:00
업데이트 2011-0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커피의 정치학 】대니얼 재피 지음 수북 펴냄

기업형 커피전문점 문화의 아이콘인 스타벅스가 세계 커피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이상이다. 2000년 4월 스타벅스는 공정무역 운동가들의 요구에 두 손을 들고 미국 전역의 2300여개 매장에서 공정무역 인증 커피를 판매하기로 합의한다. 이는 공정무역 운동에서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꼽힌다. 소비자들을 움직여 고급 커피 시장의 흐름을 바꿔 놓는 데 일단 성공했다. 그러나 2008년 스타벅스 전체 커피 판매량에서 공정무역 커피가 차지하는 비중은 불과 6%다.

이미지 확대
이러한 낮은 비중에도 일부 소비자들은 스타벅스가 공정무역 모델을 개척한 이른바 ‘착한 기업’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스타벅스는 기업 이미지와 공정무역을 성공적으로 결합해 브랜드 이미지 강화에 공정무역을 이용했을 뿐이다.

‘커피의 정치학’(대니얼 재피 지음, 박진희 옮김, 수북 펴냄)은 커피를 마시는 것이 정치적 행동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단순히 공정무역 커피에 대한 연구서가 아니라 세계무역기구(WTO)에 의해 강요되는 불공정한 무역 체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공정무역은 세계의 소농들이 더 나은 대가를 받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만들어졌으며 현재 빠르게 성장 중인 대안 시장이다. 공정무역 커피는 농민들의 피땀이 아니라 ‘정의가 담긴 커피’를 마시자는 것이 목표다.

저자인 대니얼 재피는 미국 워싱턴 주립대 사회학 교수로 멕시코 오악사카 지역의 커피 농부를 연구했다.

“비참한 기분입니다. 물건을 살 수 있도록 우리에게 돈을 쥐어 주는 것은 커피뿐이기 때문입니다. 가격이 낮아진 이후로 우리가 슬픈 것도 그 때문이고 사람들이 떠나가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멕시코 야가빌라 지역의 커피 생산자 페드로의 말)

공정무역 커피 생산은 유기농 재배 때문에 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따라서 임금 노동자 고용을 늘려야 했다. 공정무역을 통한 경제적 수익은 농가로 가기보다는 대부분 지역 공동체 전체로 분배되는 형편이었다.

책에 따르면 공정무역 생산농민의 실질적 경제 수준은 많은 소비자가 생각하는 것과는 다르다. 사람들은 공정무역 커피를 마시며 그들의 빈곤 사슬을 끊는 데 힘을 보탠다고 믿지만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었다. 공정무역에 편입되는 것이 결국 가난의 끝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책은 말한다. 그저 더 악화하지 않게 해줄 뿐이라는 얘기다.

“내가 보기엔 공정무역 가격은 전혀 공정하지 못해요. 거의 20년 전에 정한 가격이니까요. 20년간 무슨 일이 있었습니까?…대부분의 수익은 생산자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물건을 사가는 중간 상인의 손에 떨어졌어요.”(멕시코 커피 농민 콘트레라스 디아스)

커피광들은 공정무역 커피의 맛을 칭찬한다. 멕시코의 농민들에게 커피 농사는 60년 이상 이루어진 문화적 행위다. 단체의 일원으로 자신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자각, 커피를 경작한다는 자랑스러움이 힘든 커피 농사를 계속하게 하는 힘이기도 하다. 폭넓게 정의를 실현할 무역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상 품목과 지역 등 공정무역의 범위를 더욱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1만 8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1-08 1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