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업은 ‘최대 이익’보다 ‘좋은 이익’에 관심 가져야

기업은 ‘최대 이익’보다 ‘좋은 이익’에 관심 가져야

입력 2011-01-08 00:00
업데이트 2011-0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한국형 사회책임투자 】 류영재 지음 홍성사 펴냄

이건희 삼성 그룹 회장은 지난 3일 신년사에서 올해 키워드 가운데 하나로 ‘동반 성장’을 제시했다. 다분히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염두에 둔 것으로, 올 한 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무게를 두겠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이는 이명박 정부의 집권 후반기 정책기조인 공정사회와 맥이 닿는 화두이기도 하다.

아쉽게 한국의 재벌들에게는 아직 정의나 사회 공헌보다 비리와 특혜란 수식어가 더 어울리는 게 사실이다. 노동과 자본은 여전히 극단적으로 대치하며 해묵은 논쟁에서 한치의 진전도 이루어 내지 못하고 있다.

‘한국형 사회책임투자’(류영재 지음, 홍성사 펴냄)는 이처럼 ‘단기 성과를 위해서라면 공존과 상생의 가치쯤은 쉽게 저버리는 기업들이 공정 사회와 공동의 행복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방법이 무엇일까’라는 고민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그 답으로 ‘한국형’ 사회책임투자를 제시한다.

사회책임투자란 돈을 가진 주체들이 투자할 때 이윤만 보는 게 아니라 사회와 환경, 그리고 기업지배구조 측면 등 여러 요소를 심층적으로 고려하는 투자법을 일컫는다. 자본가들이 노동자의 입장과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에서 이익을 추구할 때 장기적으로 자신들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이제까지 생존의 법칙에 따라 ‘최대 이익’ 혹은 ‘이익의 양적 크기’를 추구했다면, 이제부터는 ‘적정 이익’ 혹은 ‘이익의 질적 성격’도 고려하자는 것이다. ‘큰 이익’보다 ‘좋은 이익’이 우선시되는 국민경제를 만들 때 우리 경제도 보다 성숙한 단계로 진전된다는 논리다.

저자는 이에 대해 “자본 시장의 힘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이끌어 내고 친환경성, 다양한 이해관계자 대응, 경영의 투명성을 가져오는 사회책임투자로 개인 투자자들의 수익과 공익, 사익(私益)이 합치된다면 천민자본주의의 엉킨 실타래가 풀릴 것”이라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사회와 기업과 나의 돈이 같은 길을 가게 해야 한국 사회에 공정한 자본주의가 정착된다.”고 설명한다.

책은 선진국 주류 투자자들의 투자 원칙에 포함된 사회책임투자의 개념과 실천가들, 국내외 경제 이슈와 구체적인 사례를 토대로 한 ‘지속가능한 실용’, 그리고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밝히는 윤리 투자법 등을 체계적인 자료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국제적으로 이슈가 됐던 영국 정유회사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의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건, 위대한 기업을 넘어 사랑받는 기업을 향한 경영의 맥(脈) 등 읽을거리도 풍성하게 담았다. 1만 3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01-08 1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