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커플의 지독한 ‘쿠바앓이’

어느 커플의 지독한 ‘쿠바앓이’

입력 2011-07-30 00:00
업데이트 2011-07-3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괜찮아, 여긴 쿠바야】 한수진·최재훈 지음 책으로여는세상 펴냄

로망을 넘어 열병과도 같은, 절절한 그리움을 안겨 주는 여행지들이 있다. 개인마다 편차는 있겠지만 쿠바 또한 이런 범주에서 빼놓으면 서운할 곳이다. 살아 있다면 피델 카스트로와 엇비슷하게 늙었을 체 게바라가 아직도 열혈남아로 남아 있고, 시가 연기 가득 찬 부에나비스타 소셜클럽에서는 늙은 악단의 연주 소리가 들려올 것 같은 곳. 해질 녘이면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그가 펜으로 빚은 늙은 어부 산티아고에게 깊은 성찰을 안겨 줬던 청새치가 바다 위로 솟구쳐 오를 것만 같은 곳. 아바나의 거리에서라면 찐득한 땀마저 감미롭게 느껴질 터다.

‘괜찮아, 여긴 쿠바야’(한수진·최재훈 지음, 책으로여는세상 펴냄)는 그런 열병을 앓는 젊은 커플이 돌아본 쿠바 여행기다.

책 표지 사진이 인상적이다. 부부로 보이는 중년 남녀가 손가락 사이에 담배를 끼운 채 편안한 웃음을 건네고 있다. 여행서라면 의당 풍경 사진이 앞으로 나올 법한데 말이다. 표지 사진은 사실상 이후의 내용을 설명하는 복선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저자들은 쿠바를 여행한 것이 아니라 ‘쿠바 사람들’을 여행했다. 보러 간 게 아니라 만나러 갔다는 얘기다. 그래서 책에는 수없이 많은 쿠바 사람들이 등장한다. 여행 이튿날부터 마지막 날까지 저자들의 주변에서 맴도는 호세와 롤란도를 비롯해 많은 카사(민박집) 주인들, 도시의 잘사는 사람들과 시골의 가난하고 순박한 농사꾼들, 젊은 날 뜨거운 피로 혁명에 참여했던, 그러나 지금은 노인이 된 사람들, 자본주의 국가 사람들은 모두 부자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는 퇴역 장교, 그리고 도시 길거리에서 빈둥거리며 외국 관광객들에게 어설픈 사기를 치는 젊은 히네테로 등 그야말로 다양한 쿠바 사람들이 선을 보인다.

저자는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쿠바 사람들의 맨얼굴을 조용하고 자세히, 그리고 정직하게 그려 내고 있다. 마치 소설처럼 말이다. 우리와 닮은 듯 전혀 다른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쿠바의 일상과 접하다 보면 자연스레 우리의 오늘과 견주게 된다. 아울러 어떤 미래가 옳은 것인가에 대한 성찰의 시간도 갖게 된다. 저자들이 체 게바라처럼 오토바이를 타고 여행을 다녔다면, 이들의 시각은 또 어떻게 달라졌을까.

별유천지 같은 쿠바를 노닐다가도 일순 ‘쨍’ 하는 소리와 함께 현실로 복귀하는 순간을 맞는다. 책 말미에 저자들은 강도를 당한다. 그런데 놀라운 건 ‘강도에 대처하는 저자들의 자세’다. “범죄의 표적이 되기 쉬운 이방인이 경계심을 풀고 허점을 노출했던 게 문제”란다. 강도보다 자신들의 책임이 더 크다는 거다. 그러니 저자들은 천상 쿠바 열병에 걸린 환자들이다. 1만 4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07-30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