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자와 차 한 잔] ‘노는 만큼 성공’ 김정운 교수

[저자와 차 한 잔] ‘노는 만큼 성공’ 김정운 교수

입력 2011-10-01 00:00
업데이트 2011-10-0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놀 줄 모르는 주류들, 정치보다 더 문제”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를 이기지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기지 못한다.’ 2500년 전 공자가 한 말이다. 논어 옹야편에 나온다. 시공을 뛰어넘어 ‘일벌레’로 유명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놀자.’고 외치는 이가 있다. 김정운(49)교수. 그와 연관된 단어들은 생경하다. 문화심리학자, 여러가지문제연구소장, 지식 에듀테이너, 휴테크 전도사 등. 하지만 주제는 뚜렷해 보인다. 잘 노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라는 것이다. 놀이에 대한 그의 철학을 오롯이 담은 책 ‘노는 만큼 성공한다’(21세기북스 펴냄) 개정판이 최근 나왔다.

2005년 책이 처음 나왔을 때와 비교해 확연히 달라진 것은 표지 속 저자의 모습이다. 파마를 한 요즘 머리 모양으로만 그를 기억하는 독자들로부터 이의 제기가 많아 사진을 새로 찍었다고 한다. 명지대 여가정보학과 사무실에서 김 교수를 만났다.

이미지 확대
김정운 명지대학교 교수
김정운 명지대학교 교수




●現 주류 ‘386세대’ 놀면 불안한 병 걸려

“한국 사회의 진짜 문제는 경제나 후진적 정치문화가 아니라 제대로 놀 줄 모르는 사람들이 이 사회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는 겁니다. 위기의 실체가 무엇인지 알기에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죠.”

김 교수 자신을 포함해 1980년대 초에 대학을 다닌 386세대는 재미와 행복이라는 궁극적 가치를 추구하면 죄의식을 느끼도록 ‘의식화’되어 있다. 자유, 민주, 평등을 외치면서도 ‘놀면 불안해지는 병’에 걸린 세대가 주류가 되다 보니 사회는 온통 분노와 증오로 치닫고 사람들은 공격성과 적개심을 가득 품게 된다. 그들에게 여가라고는 음침한 술집에 모여 앉아 돌리는 폭탄주와 룸살롱, 노래방이 고작이다. 이 지경이 된 것은 압축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김 교수는 말한다. 서구 사회에서 200년 걸린 경제성장을 우리는 50년 만에 해치웠고, 주 40시간이라는 노동 시간 단축의 역사도 짧기는 마찬가지다. 제대로 된 여가문화를 정립할 시간이 없었다.

“심리학적으로 창의력과 재미는 동의어입니다. 제대로 놀 줄 모르면 삶은 재미없고 나와 다른 것에 대한 관용이 없어집니다. 그런 사람은 창의적이 될 수 없습니다. 왜곡된 여가문화가 결국 개인은 물론 국가 경쟁력의 발목을 잡는 원인이 되는 것이죠.”

우리는 창의성이 중시되는 지식 기반 사회에 살고 있다. 재미와 행복이 수반된 창의적 여가문화가 개인은 물론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된다는 그의 주장은 충분히 일리가 있다. 모두들 진지하게 이론과 이념을 얘기하는데 ‘노는 이야기’를 강조하는 것은 왜일까. “이념이나 사회 구조적 문제에 대해 누구보다도 얘기를 잘할 자신이 있어요. 그 문제도 중요하지만 또 다른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행복과 재미라는 궁극적 가치도 중요하다고 누군가 얘기를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성숙한 사회에는 다양한 이야기가 있어야 합니다.”

●“재미·창의력 같은 말… 여가문화 개선해야”

어떻게 하면 재미있고 행복해질 수 있을지 물었다. 그는 소소한 재미 안에서 즐거움을 찾으라고 조언한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면 의외로 간단해집니다. 좋아하는 것을 끊임없이 하다 보면 몰입과 학습의 경험을 하게 되고 매일매일의 삶이 곧 축제가 됩니다.”

그 자신은 만년필을 무척 좋아한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잉크와 종이에 대해 관심이 깊어졌다. 김 교수는 자신이 좋아하는 만년필에 잉크를 넣어 질 좋은 종이에 글을 쓸 때 즐겁고 행복하다고 했다. 즐겁고 행복한 상태에서 쓴 글은 독자들이 귀신같이 알아차린다.

경제가 어려운데 무슨 노는 얘기를 하느냐는 사람이 있을 법하다. 김 교수는 “우리 경제가 어렵지 않은 적이 있었느냐?”고 반문하면서 “경제가 좋아져서 국민이 행복해지는 게 아니라 국민 개개인이 행복해야 경제가 좋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개인의 행복도 잘 놀아야 성취될 수 있다는 얘기다. 잘 논다고 꼭 성공한다는 보장이 있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이 점에 대한 그의 답은 명쾌하다.

“평생 재미있게 잘 놀았으면 그것으로 됐지 않습니까? 더 이상 뭘 바랄 수 있을까요.”

글 함혜리 문화에디터 lotus@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1-10-0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