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부 부인들, 춘화에 등장한 이유는

사대부 부인들, 춘화에 등장한 이유는

입력 2012-05-05 00:00
수정 2012-05-0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강명관 지음/휴머니스트 펴냄

‘꿀벅지’와 ‘베이글’의 시대라 해서 너무 나무랄 것만은 아니다. 일부종사의 법도가 그토록 엄격했다던 조선시대에도 “규방의 부인들이 갖가지 기생 차림을 하니 부인네들은 빨리 그것을 고쳐야 할 것이다.”라는 한탄이 줄 이었으니 말이다. 증거물도 있다. 신윤복이 그린 ‘미인도’가 대표적이다. 신윤복을 포함해 18세기 미인도를 쭉 훑어 보면 머리에 쓴 큰 가체, 좁은 저고리, 길고 풍성한 치마가 특징적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게 여성의 육체성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휴머니스트 펴냄)는 옛 시절 풍속에 대한 대중적인 책들을 잇따라 내 왔던 강명관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의 최근작이다. 제목 그대로 각종 그림에 나타난 여성의 문제를 다룬다. 처음에는 간단히 고려 문제를 다룬다. 자료가 워낙 드물어 확언하기는 어렵지만 저자는 “고려 여성이 조선 여성에 비해 지위가 높았다.”고 추론한다. 여성 초상화가 따로 있었을 뿐 아니라 남성과 여성이 한 화면에 그려졌고 그 모습도 서로 대등하게 바라보는 형태라서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초상화가 대표적인 예다.

이는 조선시대 들어 차츰 사라진다. 여성 초상화가 고려 때의 불교적인 풍습이란 공격도 한몫했다. 저자는 또 숙종실록 기록을 바탕으로 언제부터인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그릴 줄 아는 ‘여자’가 없다는 이유로 왕가에서 왕비의 초상화가 사라졌다는 점을 지적한다. 여자 그림을 남자가 그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남녀유별이 한층 더 엄격하게 적용되는 왕실에서 이는 중대한 사유로 작용했다. 사대부나 민가에서는 그나마 일부 제작되지만 제사 지낼 때 초상화 대신 신주를 모시는 유교적 풍습이 일반화되면서 사라져 간다.

조선 중기를 넘어서면서는 아예 여성의 존재 자체가 말소된 해괴한 그림들이 나타난다. 가령 임금이 연회를 베푼 것을 기념하는 그림에서 남자들은 존재하지만 여자 자리는-그들이 아주 지체 높은 가문의 고귀한 마나님들이었음에도-아예 비워져 있다. 등장도 하지만 나서 자라서 출세하는 남성을 빛내기 위한 액세서리 정도다. 그것도 아니면 일하거나 정절을 지키기 위해 죽는 모습으로만 남아 있다.

여자라고 당하고만 있을 턱이 없다. 3장 ‘길들여지지 않은 여성 주체’는 흥미롭게 읽힌다. 지식과 교양에서 축출된 여성들은 불교와 무속과 점집으로 향했다. 동시에 노골적인 춘화도 빠질 수 없다. 신윤복, 김홍도의 풍속화와 춘화가 등장한 맥락도 여기에 있다. 이 그림들에서 남자의 지아비로서의 근엄함 따윈 없다. 2만 3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5-0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