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독교·불교 등 현대 종교가 ‘토테미즘’보다 뛰어나다고?

기독교·불교 등 현대 종교가 ‘토테미즘’보다 뛰어나다고?

입력 2012-10-24 00:00
업데이트 2012-10-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학자 2인의 저서 국내 첫 발간

기독교나 불교처럼 유일신 사상에 기초한 종교가 무당의 점술이나 토테미즘보다 더 뛰어나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인류학계를 풍미했던 사회 진화론적 관점에서 한 걸음도 더 나아가지 못한 것이다. 이런 사회 진화론적 관점이 인류학에 적용되면 유럽사회는 선진적이고 그 밖의 나라나 민족·부족은 미개하거나 야만적인 정신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 된다. 이른바 근대적 정신 세계다. 그러나 1915~1918년 트리브리안드 군도에서 집중적으로 민족 연구를 한 브로니슬로 말리노프스키(1884~1942)나, 1940년대 인류학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1908~2009) 등은 신화나 토테미즘, 주술 등이 서양의 백인 성인들이 추종하는 종교와 비교해 원시적이거나 태고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을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는 ‘구조주의’ 문화인류학자 레비 스트로스의 1962년 저작인 ‘오늘날의 토테미즘’(왼쪽·류재화 옮김, 문학과지성사 펴냄)이 최근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간된 데 이어, ‘감성적 기능주의’ 인류학자인 말리노프스키의 핵심 저작 중의 하나인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전3권)’(오른쪽·유기쁨 옮김, 아카넷 펴냄) 이 국내에서 처음 번역돼 나왔다. 평소 인류학이나 문화론과 관련한 비판서를 읽으면서 레비 스트로스나 말리노프스키의 민족지 연구 등이 거론될 때마다 원전을 읽지 않아 자꾸 위축됐다면, 이 두 위대한 문화인류학자의 저서를 읽어볼 법하다.

프랑스 출신인 레비 스트로스는 이 책에서 문화체계를 이루는 요소들이 구조적 관계라는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인류학이 상대성과 차이를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감상적·도덕적·역사적 잣대를 갖고 선별하고 판별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즉 문화가 직선적 진화성이나 진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만큼 문명이 원시보다 낫다거나, 현재가 과거보다 낫다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폴란드 출신의 말리노프스키는 영국 사회인구학의 창시자로서 현장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시점에서 인간의 욕구충족 장치로서 문화의 ‘기능’을 규명하고자 했다. 역자인 유기쁨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은 “사회진화론적 사고로 인류학을 연구한 프레이저와 달리 나와 다른 사회를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한 성과를 담은 책”이라며 “곳곳에 ‘혹시 편견이 작용하는 것은 아닌지’ 하고 우려하는 모습들이 다른 사회를 이해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건인지 보여준다.”고 말했다. 영국 인류학자인 프레이저(1830~1936)는 인류의 정신이 주술-종교-과학으로 발전한다는 3단계 도식을 제창해 유럽 중심적 사고방식을 전파하는 데 일조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10-24 22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