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식물도 보고 듣고 느끼고 기억한다…그들의 어깨춤이 보이지 않을뿐

식물도 보고 듣고 느끼고 기억한다…그들의 어깨춤이 보이지 않을뿐

입력 2013-04-20 00:00
업데이트 2013-04-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물은 알고 있다/ 대니얼 샤모비츠 지음 다른 펴냄

흔히들 하는 얘기다. ‘식물은 알고 있다’(대니얼 샤모비츠 지음, 이지윤 옮김, 다른 펴냄). 그런데 저자 약력을 보니 주말 아침 클래식 틀어놓고 베란다에 앉아 난 한 촉씩 정성들여 닦으며 대화를 나눌 만한 사람도 아니고, 환경문제를 다룬 신문기사를 읽고 상처받은 가이아의 영혼을 위해 울어줄 만한 사람도 아니다. 이스라엘 출신 유전학 박사로 미국과 이스라엘 등지를 오가며 강의하는 과학자다.

그러니까 여기서 ‘안다’란 심미적인, 영적인, 시적인 표현이 아니다. 엄격한 과학적 표현이다. 과학의 외피를 쓴 고등 사기는 또 얼마나 많던가. 그 의심을 피하기 위해 가지 치기 한번 더 한다면, 엄청난 연구비용이 괜찮게 쓰이고 있다는 점을 널리 알리기 위한 선전, 내용이야 어찌 됐건 그날그날 섹시한 리드와 헤드라인에 집중하는 신문쟁이들의 타는 목마름, 과학을 빙자한 정치적 구호와도 궤를 달리한다.

이런 특성은 4장 ‘식물은 어떻게 듣는가’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이 장에서 저자의 타깃은 1973년 출간된 도로시 리탈렉의 ‘음악과 식물의 소리’, 같은 해에 나온 피터 톰킨스와 크리스토퍼 버드의 ‘식물의 정신세계’다. 클래식, 그것도 모차르트를 틀어줬더니 식물이 잘 자라더라는 류의, 그래서 사람들 태교에까지 영향을 끼친, 오늘날 식물 좀 키운다는 사람들이 식물의 신비 운운할 때마다 늘 그 근거로 제시하는 그 책들이다. 저자는 이 책들이 대중적으로 성공했는지는 몰라도, 과학적으로는 ‘꽝’이라 명백히 못 박아뒀다. 그러니까 신문에 나고 대중들은 아주 중요한 연구결과라고 알고 있지만, 과학학술지에서는 외면당하고 ‘과학’이 아니라 ‘뉴에이지 문학’으로 분류되고서야 책 출간이 이뤄졌다는 점을 콕 집어 지적한다.

아니, 식물은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책을 내는 입장이라면 거기에 걸맞은 소재들이나 모아 쓸 일이지 왜 굳이 듣지 못한다는 말을 해놓느냐고? 없는 사실 그럴 듯하니 듣기 좋게 포장할 생각이 없다는 뜻이다. 더 재미있는 건 관련 실험에 대한 설명이다. 아, 과학 얘기라고 긴장하기보다 음악 얘기니까 일단 어깨를 가볍게 털자. 음악이니까 그 음악가나 밴드의 대표곡을 속으로 흥얼대면서 읽어 나가면 배꼽 빠질는지 모른다.

리탈렉이 클래식 음악과 ‘대조’한 것은 레드 제플린과 지미 헨드릭스의 음악이다. 톰킨스와 버드가 클래식 음악과 ‘비교’한 것은 인도의 시타음악이다. ‘대조’와 ‘비교’가 키워드다. 당연히 록 음악은 식물들에게 해를 끼쳤다. 반면, 영적인 느낌이 충만한 인도의 시타는 클래식과 비슷한 효과를 냈다.

“시끄러운 록 음악이 대학생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반사회적 행동과 연관 있다고 보는 사회적 보수주의자”와 “음악과 물리와 모든 자연이 성스러운 조화를 이룬다는 영성주의자”의 기묘한 만남이다. 이들 만남의 키워드는 과학이나 실험이란 이름을 붙이기 어려운 엉성함이다. 1960~1970년대 시대 영향에다, 앞서 언급한 두 책의 대중적 성공 때문에 이후에 이런 종류의 책들은 쏟아져 나온다. 저자는 여기에 대해 딱 꼬집어 지적해 뒀다. “이런 유형의 실험들이 실험자들이 가진 음악적 취향을 말해준다는 것이 참 놀랍기 그지없다.”

그럼 진짜 과학적인 실험 결과는 어땠을까. 모차르트, 데이브 브루벡, 데이비드 로즈 오케스트라, 비틀스의 음악을 틀어주고 식물을 키웠다. “더 스트리퍼(데이비드 로즈 오케스트라의 연주곡)의 영향으로 추적할 수 있는 잎의 절단이나 비틀스에 노출되어 야기된 가지의 회전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른 실험에서는 모차르트와 미트 로프를 틀어줬다. 안 틀어준 것보단 나은 결과가 나왔지만, 모차르트와 미트 로프 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모차르트 팬으로서는 실망스러운 결과겠지만, 그래도 이 실험은 어쨌거나 음악이 영향을 끼친다는 뜻 아닌가? “음악을 틀어준 스피커가 공교롭게도 열기를 발산해” 따뜻하게 데워 주는 바람에 식물이 더 잘 자랐다는 게 최종 결론이었다.

이렇게 엄격한 저자이건만 1980년대 초반 일련의 실험을 통해 식물들이 ‘대화한다’는 추론이 등장하고 그걸 각급 언론들이 대서특필한 데 대해서는, 그 이후에 진행된 여러 실험 결과를 봐서도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본다. 물론 과학자답게 ‘식물 간 대화’라는 표현이 의인화 기법이라는 지적을 빼놓진 않지만.

그렇다면 대체 어떻게? 식물이 보고, 듣고, 느끼고, 알고, 기억한다는 주장들을 둘러싼 수많은 실험과 검증은 책에서 재밌게 읽으면 된다. 읽고 나면 감수를 맡은 류충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식물인간’, ‘식물국회’라는 표현은 식물에 대한 모독이라 주장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거실 구석 화분 속 식물이 당신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는 건 아니다. 식물의 활동은 식물의 방식으로 이뤄진다.

식물 얘기다 보니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과일, 채소 얘기도 등장하고 덕분에 어릴 적 할아버지, 할머니들에게서 전해 들은 소소한 삶의 지혜가 어떻게 과학적 사실과 연결되는지 엿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1만 3000원.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4-20 1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