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자와의 차 한잔] 산문집 ‘조용한 걸음으로’ 낸 원로 문학평론가 김병익

[저자와의 차 한잔] 산문집 ‘조용한 걸음으로’ 낸 원로 문학평론가 김병익

입력 2013-04-20 00:00
업데이트 2013-04-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유롭게 생각하고 책 읽고 글로 남긴 건데…”

“그동안 내 이름으로 발표된 ‘잡문’들을 이참에 내가 챙겨두지 않으면 쓸쓸한 고아가 될까 봐 불편함을 억누르고 낸 건데….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도 아니고, ‘힐링북’과도 거리가 멀고.”

지난 18일 서울 광화문의 한 커피숍에서 만난 원로 문학평론가 김병익은 이번에 펴낸 산문집 ‘조용한 걸음으로’에 대해 “허망함을 허망함으로 받아들이는 관용을 요즘 훈련하고 있는데 이 글이 그런 연습의 하나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지난 18일 서울 광화문의 한 커피숍에서 만난 원로 문학평론가 김병익은 이번에 펴낸 산문집 ‘조용한 걸음으로’에 대해 “허망함을 허망함으로 받아들이는 관용을 요즘 훈련하고 있는데 이 글이 그런 연습의 하나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문학평론가이자 출판인, 저술가이면서 독서가인 김병익(75)이 최근 펴낸 산문집 ‘조용한 걸음으로’(문학과지성 펴냄)를 받아보고는 득달같이 인터뷰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 18일 서울 광화문 근처 커피숍에 앉자마자 흐트러진 백발을 뒤로 넘기며 예상치 않았던 관심이 부담스럽다며 손사래부터 쳤다.

“노년에 어디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생각하며 책을 읽은 결과물인데, 노후의 노욕이 보이는 노추가 아닐까. 어쩌면 ‘망’(妄)자까지 갈지도 모를 ‘노’()자 항렬이 부끄러움으로 다가온다”며 말을 이어갔다.

지난해 펴낸 자신의 ‘전공’인 비평집 ‘이해와 공감’과 달리 스스로 ‘잡문’이라며 독자들에게 ‘양해’를 구하지만 50여년을 책과 함께해 온 출판계 원로인 저자가 소소한 이야기들로 풀어낸 글들은 일반 독자들이 편하게 읽을 수 있어서 좋다. 특히 칠십을 훌쩍 넘기면서 노년에 대한 단상과 노년의 책읽기, 지금의 암울함과 절망감을 자신의 자산으로 삼으라는 젊은 세대들에 대한 애정어린 충고는 가슴에 와 닿는다. 무엇이 되겠다는 것보다 ‘어떻게 살고 싶다’는 ‘삶에 대한 사유’를 강조한 대목이 더욱 그렇다.

첫 장을 넘기면서부터 느껴졌던 노년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 궁금했다. 그는 일본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오에 겐자부로의 ‘만년의 양식’을 거론하며 “오에는 노인의 진지함과 열정을 얘기하면서 노년을 ‘고요한 비탄’이라고 했는데 난 ‘존재의 우수’라고 표현하고 싶다. 육체의 피로감과 세상으로부터의 소외감 등이 응어리져 있는”이라면서 “개인적으로는 노년이 감각적으로 다가왔고 잘 지내고 있지만 정신적·육체적 노쇠함과 사회적 수용의 간극 문제는 사회와 개인이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평생 책과 함께해 온 자신이 터득한 노후의 책읽기를 소개했다. 이른바 ‘메모 독서’라고도 하고, ‘여백에 긁적거리기’라고도 하는 ‘마지널리아’(marginalia). “쉽게 말하면 댓글달기예요. 나이가 드니까 방금 전에 읽은 것도 까먹어요. 그래서 궁리 끝에 책을 읽다가 인상적인 문장이나 글귀가 나오면 그 대목에 메모지를 붙여 놓았다가 나중에 컴퓨터에 문장과 함께 느낌과 생각을 정리해요. 완성된 문장일 필요도 없고 자유롭게 느낌을 쓸 수 있어 노후의 글읽기로 권하고 싶다”고 했다.

지금까지 도스토옙스키 전집(25권)과 토마스 만, 까뮈 전집(34권)을 이같은 ‘메모 독서’로 독파했다. 정리해 놓은 원고만 A4용지로 300~400장이나 된다. 컴퓨터 조작 잘못으로 써놓았던 긴 메모가 날아가버렸을 때는 아찔했다며 웃는다.

아름다운 만년의 양식으로 다시 책을 든 그에게 젊은 세대의 책읽기에 대해 물었다. “젊은이들이 책을 안 읽는다고 안타까워하는 건 기성세대의 시각이다. 문화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책을 읽는 게 아니라 책을 보고, 글을 쓰는 게 아니라 글을 치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기술의 변화에 따라 지식과 정보의 습득 방식이 완전히 바뀌었고, 이에 따라 세대별 사유방식과 우선순위도 자연스럽게 달라진 것”이라면서 “세대마다 알아서 사회관계와 내면적 성숙을 도모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유연성을 강조한 분석을 더했다.

김병익은 에필로그에 이 책을 ‘마지막에서 두 번째’라고 밝혀뒀다. “마지막이라고 하면 너무 절망적이다. 그러나 마지막에서 두 번째는 한 번은 더 유예로 남겨둔다는 희망을 담고 있어서 좋다”면서 “책을 또 낼지는 모르겠지만 만약에 낸다면 그 책 역시 마지막에서 두 번째라고 할 것이다. 마지막은 죽을 때 주위의 평가로 돌리자는 생각”이라며 여운을 남겼다.

1부 ‘돌아보며, 바라보며’에는 문학과 삶, 세상에 대한 에세이들을, 2부 ‘도저한 정신들’에는 각별했던 문인들에 대한 추모와 회상의 글을, 3부 ‘가장자리에서 서성이다’에는 웹진에 실었던 글들을 각각 실었다.

김균미 기자 kmkim@seoul.co.kr

2013-04-20 19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