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동생 잃은 엄마 달래준 76년전 ‘위안부 소녀’의 편지

동생 잃은 엄마 달래준 76년전 ‘위안부 소녀’의 편지

입력 2013-06-01 00:00
업데이트 2013-06-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늘로 가는 우체통/정영애 지음 주니어김영사 펴냄

‘하늘로 가는 우체통’은 다혜가 만든 비둘기집 모양의 아담한 우체통이다. 마을의 빈 오두막집 안에 긴 막대를 꽂고 폼나게 달아놨다. 그런데 우체통을 만든 사연이 애달프다. 다혜의 남동생 다빈이가 초등학교 입학식 날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자 정신줄을 놓은 엄마를 위로하기 위해서다.

엄마는 마음의 병을 얻었다. 비만 오면 죽은 다빈이를 마중 간다며 밖으로 뛰어 나갔고, 자동차만 보면 온몸을 사시나무 떨듯 떨었다. 끼니를 거르는 때가 많아 갈수록 야위어 갔다.

그런 엄마와 다혜는 시골 외가에 머물기로 한다. 다혜는 안타까운 마음에 엄마에게 죽은 다빈이에게 편지를 써볼 것을 권한다. 엄마는 편지를 쓰기 시작하고, 다혜는 친구 운호와 함께 엄마의 편지를 부칠 우체통을 만든다. 그런데 놀랍게도 1937년 ‘하나코’라는 사람이 쓴 답장이 도착한다. 맞춤법도 엉망이고 도무지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 없다. 엄마는 다빈이가 답장을 보낸 것이라 믿고 계속 편지를 쓴다.

‘하늘로 가는 우체통’(주니어김영사 펴냄)의 모티브는 아이를 그리는 모성애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진지하게 접근했다. 발상의 전환이다. 초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던 정영애 작가는 역사적 잣대를 제시하지 않고도 요령껏 위안부 문제를 끄집어냈다.

글의 얼개는 자신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자식을 그리워하는 엄마와, 어린 나이에 엄마 곁을 떠난 한 소년의 이야기로 채워졌다. 발신 연도가 1937년인 수수께끼 같은 편지의 주인공은 마을에 사는 꽃봉이 할머니. 마을사람들은 할머니를 벙어리로 알고 있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76년 전 열세살 나이에 위안부로 끌려가 일본군의 성노리개가 됐던 할머니는, 엄마에게 돌아갈 날만을 기다리며 밤마다 편지를 썼다. 부치지도 못할 편지를 고이 간직한 채 엄마를 보고 싶은 마음을 달랬던 거였다. 고향에 돌아왔지만 ‘갈보’라는 놀림을 받았고, 그래서 짐짓 벙어리 행세를 하며 살아왔다.

다혜가 우체통을 달아놓은 빈 오두막은 할머니가 어린 시절 살았던 집. 우연찮게 다혜 엄마의 편지를 본 할머니는 수십년을 뛰어넘어 서로의 마음을 나누게 된 것이다. 그 덕분일까. 다혜 엄마는 점차 정신을 차리고, 평소 웃지도 울지도 않던 꽃봉이 할머니도 밝은 표정을 되찾은 뒤 평온히 세상을 떠난다. 작가는 “일제강점기, 끌려간 소녀들의 엄마는 얼마나 딸이 그리웠을지 생각하며 글을 썼다”고 말했다. 9500원.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6-0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