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연암·다산, 닮은 듯 달랐던 사상가

연암·다산, 닮은 듯 달랐던 사상가

입력 2013-06-22 00:00
업데이트 2013-06-22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개의 별 두개의 지도] 고미숙 지음/북드라망/432쪽/2만원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은 18세기를 함께 산 동시대인이자 조선후기 대표적인 사상가다. 두 사람은 실학자, 개혁파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나 물과 불처럼 대비된다. 10년 전 연암의 ‘열하일기’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한 책을 내 반향을 받았던 작가 고미숙씨가 두 사람에 대한 평전을 내놨다.

둘의 대표적 저서는 ‘열하일기’와 ‘목민심서’다. 전자는 연암이 중국 연경을 거쳐 청 황제의 하계 휴양지인 열하까지 여행하고 쓴 기행문이고, 후자는 유배지에서 18년 만에 완성한 수령들의 지침서다.

연암은 일기에서 정통에서 벗어난 패사소품(稗史小品)에서 기(記), 논(論), 서(序) 등 정통고문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문체적 실험을 한다. 청 문명의 세계적 위상, 중화주의의 허와 실, 티베트 불교와 서교 등을 망라하고 티베트 법왕 판첸라마, 한족과 만족의 여인네 등 다양한 인물을 다룬다.

반면 목민심서는 부임(赴任)에서 해관(解官)까지의 전 과정이 12편 72항목으로 정교하게 쪼개진다. 주석과 인용을 통해 출처를 밝히고 견문과 체험을 덧붙인 뒤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열하일기에서 자유분방함과 유연성이 느껴진다면 목민심서에선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완벽함, 모범생의 풍모가 읽혀진다.

저자는 연암과 다산은 다르다고 말한다. 박지원은 거구에 비만이고, 정약용은 작고 단단하다. 연암이 탁월한 문장가라면 다산은 방대한 저술가다. 문체와 세계관, 사상과 윤리에서는 평행선처럼 팽팽하지만 그렇다고 대립적인 것은 아니고 헤어지지 않으면서 계속 간다. 호를 통해서도 두 사람의 차이를 엿볼 수 있다. 연암(燕巖)은 ‘제비바위’처럼 자유롭고 매끄럽게 생을 흘러 다녔고, 다산(茶山)은 움직이지 않는 ‘차의 산’처럼 우직하게 살다 갔다.

연암은 1737년에 태어나 69세인 1805년에 숨졌다. 다산은 1762년에 출생해 75세인 1836년에 유명을 달리했다. 열하일기는 47세이던 1783년에, 목민심서는 56세인 1818년에 각각 완성됐다. 두 사람은 1776년부터 1800년까지 왕을 지낸 정조를 고리로 연결된다. 25세의 나이차가 있고 박제가·정석치 등 둘의 절친한 친구들이 겹치지만 만난 적이 없다. 연암이 50세이던 1786년 생계를 위해 뒤늦게 벼슬길에 오르고, 다산은 1789년 대과에 급제해 공직생활을 시작한다. 문체반정(文體反正)과 수원 화성 축조, 천주교 사태 등으로 서로 충돌할 법도 했지만 만났거나 부딪치지 않았다.

임태순 선임기자 stslim@seoul.co.kr

2013-06-22 1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