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 이제 가네”

“나 이제 가네”

입력 2014-08-07 00:00
업데이트 2014-08-07 0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죽음 내다본 조선문인 시 108수 김시습 등 56명 자만시 엮어내

‘나 죽은 뒤 무덤에 표시할 적에/꿈을 꾸다 죽어간 늙은이라 써야 하리/그렇다면 내 마음을 거의 이해하고/천년 뒤에 이내 회포 알아주는 이 있으리라’(김시습)

‘시름으로 보낸 일생/달은 암만 봐도 모자라더라/그곳에선 영원히 서로 대할 수 있을 터이니/묘지로 가는 이 길도 나쁘지만은 않구려’(이양연)

자신의 죽음을 미리 내다본 조선시대 문인들은 스스로에게 바치는 장송가를 시로 읊었다. 작가들이 자신의 죽음을 가정하고 스스로를 애도하며 쓴 자만시(自挽詩)다. ‘우리 선조들의 죽음에 관한 생생한 육성 자료’인 자만시를 우리말로 옮기고 해설한 책이 나왔다. 임준철(44)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가 펴낸 ‘내 무덤으로 가는 이 길’(문학동네)이다.

저자는 2007년부터 7년간 139명의 조선 문인들이 쓴 228수의 자만시를 찾아냈다. 이 가운데 책에는 김시습, 임제, 노수신, 양사언 등 56명이 쓴 108수의 시가 실렸다. 영구를 앞에서 끌고 인도하는 시라는 뜻의 만시(挽詩)는 죽은 자를 향한 애도문학의 하나로 중국에서는 한대(漢代)에 양식화됐다.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은 조선시대 때였다.

1부에는 조선 전기 사화(士禍)로 죽음의 위기에 몰린 문인들이 남긴 시들을 살펴본다. 정치의 소용돌이 속에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시인의 위기감과 고독이 비감한 어조로 드러난다. 2부에는 죽음과 삶은 하나라는 초월적 의식을, 3부에는 시신에 대한 묘사 등 당시 상장례 과정을, 4부에는 죽음을 앞두고 절감하는 혈육의 정 등을 엿볼 수 있는 시편들이 담겼다.

저자는 “장수가 일반화된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는 죽음 교육이 더 필요할 것”이라며 “우리 역시 자만시를 써보며 남은 삶과 닥쳐올 죽음을 어떻게 보내고 맞이할 것인지 생각해 볼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8-07 16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