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안한 삶에 안주도 다른 관점선 ‘타락’이다

편안한 삶에 안주도 다른 관점선 ‘타락’이다

입력 2014-10-07 00:00
업데이트 2014-10-07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효서 3년 만에 신작소설 ‘타락’ 펴내

“전범(典範)과 정반대의 삶이 타락이라면 도덕, 규범, 윤리 속에서 충동을 억제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편안한 삶에 안주하는 것도 타락이다.”

이미지 확대
소설가 구효서
소설가 구효서
소설가 구효서(56)가 우리 사회가 규정하고 있는 타락의 개념을 깼다. 윤동주 시인의 삶을 다룬 ‘동주’ 이후 3년 만에 펴낸 신작 ‘타락’(현대문학)에서다. 작가는 충동에 따른 무질서한 삶이 타락이 아니라 구원일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묻는다. 도발적이다. 사회 질서를 뒤집는 반(反)사회성을 품고 있어 거부감을 일으킬 법도 하다.

작가는 작품 속 남녀 주인공인 ‘산’과 ‘이니’를 통해 상반된 도덕관념의 공존 가능성을 모색했다. 산은 ‘재재동산’이라는 통일과 질서의 세계에서 풍족하게 살았다. 이니를 만나면서 내면의 충동과 욕망이 표출한다. 재재동산을 등지고 섹스, 무질서의 삶에 빠져든다. 작가는 충동에 의해 질서에서 무질서로 산의 삶이 바뀌는 순간을 ‘세상은 둘로 갈라졌다. 그날 이전과 그날 이후로 쪼개진 세상. 그날 이전의 세상엔 이니가 없었고, 그날 이후의 세상은 이니가 있었다’(16쪽)고 표현했다.
이미지 확대


이니는 삶의 모든 조건이 갖춰진 ‘팰리스 동’에서 꼭두각시처럼 지냈다. 영어 교사의 죽음이 심연에 잠자고 있던 충동에 불을 붙였다. 입센의 ‘인형의 집’ 로라처럼 팰리스 동을 탈출한다. 산을 만나 섹스에 탐닉하고 살인도 서슴지 않는다.

산과 이니는 ‘보장된 안락한 삶’을 버리고 탈(脫)규범의 삶으로 직행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산은 어머니의 부고를 듣고 제자리로 되돌아가지만 이니는 무질서, 비윤리 등 도덕관념 자체가 사라진 곳을 향해 치닫는다. 이니는 ‘여자 하나와 남자 하나로 이루어졌던 세상. 죽음 이전의 그곳. 지혜도 선악도 없던 곳. 타락 이전이라 타락도 없던 곳’(272~273쪽)을 추구한다.

우리 사회의 관점에서 봤을 때 질서 세계로 되돌아온 산은 정상이고 도덕과 결별한 이니는 타락의 나락으로 떨어진 것이다. 작가의 문제의식은 이런 시각에 반기를 드는 데서 비롯됐다. 작가는 “산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도덕, 규범, 질서를 옹호하는 건 문학적 윤리가 아니다”라고 일갈한다. 그러면서 “질서 세계의 삶은 인간 내면의 충동, 욕망, 갈망을 배반한 삶이다. 우리 사회는 충동을 반윤리로 본다. 문학과 예술은 질서 사회의 이런 관점을 반성하고 회의해야 한다. 질서와 규범의 윤리가 있다면 충동과 탈규범의 윤리도 있다. 양면을 봐야 한다”고 말한다. 타락 세계에서 도덕 세계를 본다면 도덕 세계가 오히려 타락했다는 논리로, 획일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다르게 보려는 시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산, 이니, 하, 파, 성허, 히만, 마, 바…. 통상의 소설과 달리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낯설게 처리한 점도 ‘비틀어 보기’의 한 축이다.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자신만 옳다고 주장하며 반목을 일삼는 지금 이 시대에 던지는 울림이 크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4-10-07 1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