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인간을 닮은 神들의 고향, 제주

인간을 닮은 神들의 고향, 제주

입력 2015-01-06 17:48
업데이트 2015-01-07 01: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주 설화와… ’ 펴낸 소설가 현길언씨

제주는 신(神)들의 섬이다. 흔히 1만 8000여 신들이 있는 신들의 고향으로 통한다. 한데 제주의 신은 보통의 신, 종교적 신과는 좀 다르다. 세상의 질서를 정립하는 지배자이자 통치자, 절대자의 신이 아니다. 영웅적인 활동을 펼치는 신도 있지만 천상에서 쫓겨나거나 주변부로 밀려난, 그래서 질투와 시기, 욕망에 사로잡히기도 하는 신들이다. 신들은 인간들의 삶과 얽혀 공간과 시간을 공유한다. 그렇기에 제주는 숱한 이야기의 섬이 될 수밖에 없는 지역적 운명을 띠고 있다. 신들의 삶은 바다로 둘러싸여 살아가는 사람들의 처지와 얽히며 더욱 극적인 이야기가 되고 설화가 되었다. 12세기 초 탐라국은 스러졌지만, 그곳의 이야기는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해지고, 보태지며 더욱 풍성해졌다. 그리스 신화가 그랬던 것처럼 이야기의 원형이 넘쳐나는 공간이 됐다.
이미지 확대
소설가 현길언씨
소설가 현길언씨


제주 출신 소설가이자 인문학술계간지 ‘본질과현상’ 발행인인 현길언(75) 전 한양대 교수의 사유가 돌고 돌아 다시 이곳에 머물게 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 전 교수는 “석사학위 논문도, 전국학술대회에서 처음 발표한 주제도 모두 제주 설화였다”면서 “다시 제주 설화로 돌아가게 된 것은, 아마 처음과 나중의 만남을 세계관적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처지에서 우연한 일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제주 설화와 주변부 사람들의 생존양식’(태학사)을 펴냈다. 제목 그대로 제주의 설화를 통해 절해고도 제주 사람들의 사유 방식을 고찰한 연구서다. 또한 ‘본질과현상’ 기획팀은 제주 설화 40여편을 현대언어, 표준어로 바꿔 풀어낸 ‘섬에 사는 거인의 꿈’도 함께 펴냈다.

제주의 신들은 제주 사람들의 욕망과 좌절, 또 다른 희망의 모색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설화 속 제주는 본디 왕이 나는 땅이었다. 중국의 진시황이 제주의 미녀를 데려다 후궁으로 삼았더니 커다란 알 다섯 개를 낳았고, 거기에서 나온 아이 500명은 날마다 장군놀이, 왕놀이를 한다. 제주의 왕 기운, 장군 기운을 끊기 위해 풍수사 고종달을 제주에 보내 인물이 날 만한 곳을 다니며 단맥(斷脈)시킨다. 대표적 설화 중 하나인 ‘고종달형 설화’다. 이는 역사 속 척박한 유배지로 각인된 지역에 대한 설화 속 합리화이자 인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지역적 환기다.

풍수에 대한 신앙적 믿음과 별개로 자연환경 및 운명에 대한 극복 및 저항의 움직임을 설화에 투영시키기도 했다. 겨드랑이에 날개가 달린 ‘아기장수’와 관련된 설화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양상으로 변주되면서 전해져 왔다. 지배 이데올로기인 왕권에 역모를 꾀해 집안과 지역에 액운을 끼칠까 염려돼 부모가 스스로 아이를 죽였다는 단출한 이야기에서부터, 실제로 삼별초 항쟁을 최후까지 이끈 김통정, 조선 말 제주 민란을 주도한 관노 이재수 등 실존인물이 등장한 설화까지 아기장수에 대한 제주 사람들의 염원이 반영된다.

이런 제주 설화의 특수성은 육지 설화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결국 주변부 문화, 즉 제주 문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설명이다. 이렇듯 구전된 설화는 집단창작의 전형이다. 향유자가 곧 유통자이고, 창작자가 된다. 제주에 현기영, 현길언, 고원정, 김수열, 고명철 등 소설가, 시인, 문학평론가가 유독 넘치는 이유도 달리 있는 게 아니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1-07 2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