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는 없고 ‘우리’만 있는… 무릉도원을 꿈꾸다

‘나’는 없고 ‘우리’만 있는… 무릉도원을 꿈꾸다

입력 2015-01-13 17:54
업데이트 2015-01-13 18: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가 심상대 첫 장편소설 ‘나쁜봄’

“인간의 상상력만이 문명을 진보시킨다. 그 자체로 완성된 무릉도원엔 진보가 있어선 안 된다. 진보는 부족한 게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완성된 사회의 적은 옳든 그르든 또 다른 문명을 꿈꾸는 상상력이다. 전 세계 어디에도 무릉도원처럼 완성된 사회가 없기 때문에 인간은 늘 상상한다.”

이미지 확대
소설가 심상대는 “과문하지만 문학작품을 통해 무릉도원을 처음으로 건설한 것 같다”며 “‘도화원기’에도 관념적이고 시적인 구절만 있지 몇 명이 살고 면적이 어느 정도 되고 어떤 산업 구조인지는 구체적으로 나와 있지 않다”고 말했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소설가 심상대는 “과문하지만 문학작품을 통해 무릉도원을 처음으로 건설한 것 같다”며 “‘도화원기’에도 관념적이고 시적인 구절만 있지 몇 명이 살고 면적이 어느 정도 되고 어떤 산업 구조인지는 구체적으로 나와 있지 않다”고 말했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소설가 심상대(55)가 인간의 상상력에 반기를 들었다. 인간의 개별적인 상상력을 악(惡)으로 규정하고, 모두가 똑같은 생각과 정신을 공유하는 사회를 선(善)으로 봤다. 동아시아 인류의 오랜 꿈이었던 ‘무릉도원’을 설계하고 건설한 첫 장편소설 ‘나쁜봄’(문학과지성사)에서다. 작가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게 왜 나쁜가.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가 있다면 좋은 것 아니냐”고 항변했다. ‘나’라는 관념 자체가 없어야 인류의 이상향인 무릉도원이 세워질 수 있다는 논리다.

이미지 확대
작품 속 무릉도원은 무릉, 도원, 금강, 승지, 가운데마을로 이뤄진 ‘우리고을’이다. 550여년 전 병자사화의 멸문지화를 피해 첩첩산중으로 숨어든 어느 사육신 집안의 오누이와 늙은 종복 12명이 세웠다. 해마다 봄이면 성인 남녀는 아내와 남편을 바꾼다. 직업도 바꾼다. 가장 큰 특징은 공동 육아와 공동 소유다. 부모와 아들, 딸 같은 혈연관계 개념이 없고 은행이나 화폐가 없다. “자기의 유전자를 좀 더 우월한 사회적 지위로 옮겨 놓고자 하는 개인의 욕구와 잉여 생산물의 화폐적 가치 축적, 이 두 가지가 현실에서 여러 문제를 낳고 있다. 이 두 가지가 없으면 우리 세상이 무릉도원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우리고을은 소년 ‘금잠’의 상상력으로 인해 균열이 생긴다. 우리고을의 이름의 무엇인지, 다른 고을도 있는지, 자신을 낳아준 남자를 어떻게 부르는지 등 상상은 시간이 갈수록 생명력을 갖고 확장돼 간다. 금잠의 상상에서 비롯된 알고 싶은 욕망은 살인으로까지 이어진다. 우리고을 지도자인 도서관장은 금잠을 단죄하며 말한다. “상상력은 아상(我相)의 세계로 들어서는 통로라네. 위험한 정신 영역이지. 우리고을에서는 개인이란 존재는 전체를 위한 하나의 부속물에 지나지 않아! 누구든 독립된 세계를 가져서는 안 돼!”(252쪽) “모든 사람이 평등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개인과 상상의 세계는 용납할 수 없네. 우리고을은 아무도 자신이 누구인지 알 필요가 없는 곳이라네.”(289쪽) 작가는 “무릉도원의 근간은 평등”이라며 “개인성은 어느 정도 말살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리고을은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유토피아다. 오늘날 자유민주주의는 개인이 우선인 자유주의와 다수결 원칙으로 집단을 운영하는 민주주의가 혼합돼 있는데, 둘 중 한 쪽을 택해야 한다면 민주주의가 옳다.”

이번 작품에선 실험정신이 돋보인다. 17만 3000자에 달하는 장편소설을 쓰면서 의존명사 ‘것’을 단 한 번도 쓰지 않았다. “처음부터 작심하고 ‘것’을 형용구나 다른 명사로 대체했다. 언어의 ‘저글링’(기술, 재주)을 완성했다는 데 자부심을 느낀다.”

작가는 2000년 소설 ‘떨림’을 펴내며 필명을 ‘마르시아스 심’으로 바꿨다. ‘제우스의 아들 아폴론에게 맞서 예술을 겨루려 했던 신화 속 예술가처럼 고독하더라도 자신의 예술 앞에 당당해지겠다는’는 포부가 담겨 있다. 필명을 ‘선데이 마르시아스 심’으로 한 번 더 바꿨다가 지금은 심상대를 쓰고 있다. 현대문학상, 김유정문학상을 수상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1-1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