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읽어라, 청춘] 지주 가문 출신… 사회 모순·부조리에 맞서

[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읽어라, 청춘] 지주 가문 출신… 사회 모순·부조리에 맞서

입력 2015-01-27 00:32
업데이트 2015-01-27 0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대표 문학가 루쉰

중국 근대 격동기, 모순과 부조리에 정면으로 맞서 싸웠던 루쉰(迅·1881~1936)은 ‘역사의 소명에 충실했던 지식인’으로 평가받는다.

명문 지주가의 장남으로 태어난 루쉰은 할아버지가 과거시험 부정사건에 연루돼 투옥되고, 아버지마저 동네 의원의 오진으로 병사하면서 가문의 몰락을 겪게 된다.

17세에 난징의 군사학교를 거쳐 철도학교에 들어갔는데, 이 시기 사회진화론과 같은 서양 근대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철도학교 졸업 뒤 22세에 국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가 의술을 배운 루쉰은 반만주족 단체인 광복회에 가입하는 등 지하에서 혁명활동을 시작했고, 결국 의학을 포기하고 문학을 선택했다. 1909년 귀국해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외국 소설 번역과 중국 고전을 연구하며 세월을 보내던 루쉰은 1911년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큰 기대를 걸고 중화민국 임시정부의 교육부원으로 참가했다.

베이징으로 거주지를 옮긴 루쉰은 문학단체를 조직해 문학운동을 일으키는 동시에 베이징 대학과 베이징 여자사범대학 강사로 출강해 중국소설사를 강의하며 혁명 청년들을 양성했다.

스스로를 ‘프티부르주아’라고 규정했던 루쉰은 “투쟁을 통해 새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상하이에서 지하 좌익작가 연맹에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공산주의에 기울지는 않았기에 공산당의 주장에 비판적 의식 없이 동조하는 혁명문학파 동료들과도 자주 설전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정부는 문화 외교의 일환으로 ‘루쉰문학상’을 제정해 외국 작가에게 상을 주는데, 한국에서는 ‘태백산맥’의 작가 조정래가 1988년 처음으로 이 상을 받았다. 조정래는 “인간다움이 실현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문학이 제 몫을 해야 한다는 투철한 사회의식, 지식인으로서 문인이 사회 불의를 헤쳐 나가는 데 얼마나 단호한 태도를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 등 루쉰의 작가 정신은 내게 큰 가르침을 주었다”고 밝혔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1-27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