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화로 담아낸 원불교 가르침

판화로 담아낸 원불교 가르침

박록삼 기자
입력 2015-10-15 23:16
업데이트 2015-10-16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철수, 판화집 ‘네가… ’ 출판

독일에 케테 콜비츠(1867~1945)가 있다면 한국에는 이철수(61)가 있다. 그는 오윤 등과 함께 1980~90년대 민중의 삶과 시대의 아픔을 판화 형식으로 담아낸 민중미술가였다.


그가 원불교 ‘대종경’의 가르침을 203점의 판화에 담아 풀어냈다. 연작 판화집 ‘네가 그 봄꽃 소식 해라’(문학동네 펴냄)는 여러 물음과 제언으로 이뤄져 있다. 대종경은 소태산 대종사가 행한 법문과 일상 속 가르침을 모아 놓은 책으로, ‘정전’과 함께 원불교의 중요한 경전으로 읽히고 있다. 이철수는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대종경을 꼭꼭 곱씹어 가며 읽은 뒤 그만의 해석을 더했다. 예컨대 ‘승려는 불상의 제자가 되어 가지고…부처님의 무상대도는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고’(93쪽)라는 소태산 대종사의 말에 ‘백년하청입니다! 일원(원불교의 상징) 상의 제자는 어쩌시겠습니까’라고 덧붙여 놓았다. 원불교의 경전 속에 들어가서도 원불교에 얽매이지 않는 모습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철수는 1990년대 후반부터 상대방에 대한 거친 분노를 앞세우기보다는 집단 속 개인의 성찰과 공동체의 보편적 가치, 과제 중심으로 작품 세계를 변모시켜 왔다. 불교 혹은 원불교도가 아니면서도 선(禪)과 명상이라는 불교적 세계관과 맞닿는 대목이다. 그의 작품 하나하나마다 오래 눈길이 머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판화 속에 새겨진 화두와 거기에 보태진 그의 해석은 모두 영어로 번역됐다.

전국 순회 전시회도 갖는다. 오는 21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을 시작으로 내년 1월까지 대구, 광주, 익산, 부산, 대전 등 6개 도시에서 열린다. 작가와의 대화, 판화 체험 등의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10-16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