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찬묘지명’ 통해 본 다산과 18세기 조선

‘자찬묘지명’ 통해 본 다산과 18세기 조선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6-02-19 22:42
수정 2016-02-19 23: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약용의 고해/신창호 지음/추수밭/256쪽/1만 4000원

이미지 확대
조선시대 가장 존경받는 철학자이자 관료이자 과학자인 다산 정약용. 그는 나이 마흔에 지금으로 치면 국무총리의 자리까지 오른 유능한 관료였지만, 정쟁에 휘말려 20년가량 옥살이를 한 뒤에 세상으로 돌아왔다. 갇혀 지낸 생이 삶의 3분의 1이나 차지했다. 유배에서 돌아오고 나서 4년 뒤 회갑을 맞은 정약용이 자신이 직접 쓴 묘지명인 ‘자찬묘지명’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을까.

신창호 고려대 교수의 ‘정약용의 고해’는 ‘자찬묘지명’을 통해 그의 삶과 사상을 돌아본 책이다.

그의 고해는 크게 고백과 연민, 용서 등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살얼음판을 걸으며 생의 한 갑자를 버틴 정약용은 마치 스스로에게 건네는 고해성사처럼 자신의 인생을 진솔하게 반추한다.

“내 나이 예순이다. 나의 인생 한 갑자 60년은 모두 죄에 대한 뉘우침으로 지낸 세월이었다. 이제 지난날을 거두려고 한다. 거두어 정리하고 생을 다시 시작하려고 한다.”

자서전도 유언도 아니지만 그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는 이 책에서 정약용은 삶의 의미를 간절히 찾으면서도 반생 가까이 갇혀 지냈던 자신의 삶에 용서를 구하며 다독인다.

특히 그의 삶 자체가 격정과 혼돈의 18세기 조선을 관통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 자찬묘지명에는 당대 인물이 모두 소환되고 화성 행차부터 신유박해에 이르기까지 그가 겪은 크고 작은 사건이 등장인물들과 함께 연결되기 때문에 18세기 조선사도 함께 조망해 볼 수 있다.

자찬묘지명은 무덤에 넣는 간략한 ‘광중본’과 문집에 싣는 자세한 ‘집중본’으로 나뉘는데 이번에 발간된 책은 집중본을 소개했다. 정약용이 쓴 글이지만, 책은 역자인 신 교수를 지은이로 올렸다. 출판사는 “자찬묘지명을 충실히 번역하고자 시작된 글은 어느 순간 지은이와 옮긴이의 목소리가 겹쳐지게 됐다”고 이유를 밝혔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6-02-2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