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리 삶·식생활 오롯이 녹아든 ‘음식의 언어’

우리 삶·식생활 오롯이 녹아든 ‘음식의 언어’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10-07 23:02
업데이트 2016-10-08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음식의 언어/한성우 지음/어크로스/368쪽/1만 6000원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고 한다. ‘밥심’은 ‘밥’과 힘의 사투리 ‘심’이 결합된 말이다. 따라서 ‘밥 힘’이라 띄어 써야 맞지만 ‘밥심’이라 해야 느낌이 산다. 그런데 그 ‘밥심’의 크기는 무엇으로 좌우될까. 당연히 밥그릇이다. 그것도 밥그릇에 수북이 쌓아 올린 고봉밥이라야 최고다. 그런데 국내 한 도자기 회사가 자사에서 1940년대부터 제작해 온 밥그릇의 변천사를 살펴봤더니 지난 70년간 용량이 550㏄에서 260㏄로 반 이상 줄었더란다. 밥그릇 안의 양만큼이나 더 쌓았던 고봉밥에 견주면 차이는 더 벌어진다. 이 통계가 설명하는 건 우리가 밥을 적게 먹는다는 단순한 사실이 아니다. ‘밥심’보다 더 큰 힘을 줄 수 있는 음식이 많아졌다는 시대 상황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식생활의 변화는 오롯이 말에 반영된다. 특히 음식과 관련된 말은 보태고 뺄 것 없이 당대의 모습들을 적나라하게 구현해 낸다. 새 책 ‘우리 음식의 언어’가 주목하는 것도 바로 이 대목이다. 문학작품과 노랫말, 타향에 살아 있는 우리 민족의 말들, 옛 음식 광고와 포스터, 그리고 오늘의 TV 프로그램 등을 부지런히 오가며 구수하고 얼큰하게 ‘밥상 위의 인문학’을 담아내고 있다.

서양과 달리 우리는 음식뿐 아니라 식생활 전반이 채 한 세기도 못 되는 짧은 시간 동안 격변했다. 그중 하나가 방바닥에 앉아 먹던 밥상에서 의자에 앉아 먹는 식탁으로의 변화다. 커다란 밥그릇과 국그릇이 주인이었던 예전 밥상이 다양한 국적의 음식들이 진열되는 식탁에 자리를 내주고 있는 것이다. 밥을 만들고 먹는 공간도 달라지고 있다. 불을 때 음식을 만들던 ‘부엌’에서, 음식을 차리는 현대식 공간을 가리키는 한자어 ‘주방’으로 변하더니, 영어 ‘키친’이 어느새 우리말처럼 둔갑해 쓰이고 있다. 키친과 어원이 같은 프랑스어 ‘퀴진’은 ‘요리’, ‘요리법’으로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

‘집밥’의 탄생은 역설적으로 집밥의 부재를 보여 준다. 대다수의 사람이 집에서보다 ‘밥집’에서 때우듯 먹고 만다. 그러니 밥그릇은 야위어 가도 집밥에 대한 열망은 커져만 갔을 것이다. 결혼과 공동체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는 ‘혼밥’과 ‘혼술’이라는 새로운 세태도 만들어 냈다. 달고 맛있는 엿을 두고 ‘엿 같다’ ‘엿 먹으라’ 하듯 도무지 발생 경위를 짐작하기 어려운 표현들도 생겨났다. 이처럼 우리가 먹고 말하는 것들엔 우리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이 포착하고 있는 것도 결국 식생활 너머에 있는 우리의 자화상인 셈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10-08 18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