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악에 대한 공분’이 우리를 하나로 잇는다

‘악에 대한 공분’이 우리를 하나로 잇는다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7-03-31 18:26
업데이트 2017-03-31 18: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악의 시대를 건너는 힘/강상중 지음/노수경 옮김/사계절출판사/184쪽/1만 1500원
이미지 확대
아무렇지 않게 인명을 살상하는 흉악 범죄뿐만이 아니다. 온라인에서도 아무렇지도 않게 타인의 인격을 살상하는 일들이 벌어진다. 사회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세상 도처가 크고 작은 악으로 들끓고 있다. 그러한 악을 원리주의적으로 추종하는 희한한 일들도 벌어지고 있다. 한쪽에서는 악의 발호를 지켜보며 증오가 불타오른다. 도대체 악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요즘 들어 왜 이리 활개를 치는 것일까.

재일 한국인 2세로 정치사회학자인 저자는 악은 파괴 본능을 비롯한 자유의지를 갖고 있는 우리 안에 내재된 것이며 이를 잘 길들이고 통제하는 안전, 정의, 자유가 무너졌을 때 번성한다고 이야기한다. 저자에 따르면 작금의 세상은 세 가지 브레이크가 부러진 채 폭주하는 자동차와 같다.

저자는 일본을 떠들썩하게 만든 흉악 범죄에서부터 성경, 밀턴의 ‘실낙원’,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과 ‘핀처마틴’, 그레이엄 그린의 ‘브라이턴 록’, 나쓰메 소세키의 ‘그후’ 등에 드러나는 악의 얼굴들을 찬찬히 곱씹는다. 자본주의도 시스템적인 악으로 고찰한다. 확대 과정에서 견디기 힘들 만큼의 격차와 새로운 빈곤을 만들어 내고 살아가는 의미를 빼앗아 가기 때문이다.

저자의 주장에서 재미있는 부분은 악에 대한 증오를 유지해야 한다는 대목이다. “꼴좋다”는 야비한 환희 또한 그 범주에 속하는 감정이다. “‘이 녀석만은 용서할 수 없어’라는 감정의 싹이 인간성에 깊이를 더하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대를 회복하는 기회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 부정적인 감정의 뒷면에는 자신의 내면에서 움튼 ‘증오’라는 에너지를 다른 사람에게도 공감받고 이해받고 싶은, 그러니까 다른 사람과 이어지고 싶다는 절절한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악은 세상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을 때 깃들기 쉽지만 그러한 악을 보며 함께 분노하는 순간에 하나로 연결된 우리는 악의 시대를 건너는 힘을 찾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마치 촛불처럼.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04-0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