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이해관계가 맞부딪치는 현대 사회에서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는 협상의 기술은 필수적이다. 이 책은 대학 학부생들이 갖추어야 할 협상에 관한 기본 지식과 응용 능력을 다루고 있다. 다른 협상론 교재와는 달리 상생 협상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자신의 입장에 집착하는 협상은 숫자에 매몰되기 쉽고 겉으로 드러난 요구와 주어진 몫의 분배에 관심을 둔다. 반면 상생 협상은 숫자가 아닌 합리적 논거에 초점을 두고, 요구(주장)가 아닌 그 이면에 깔린 욕구를 중시하며 ‘파이’의 분배보다 파이의 증대에 관심을 둔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8-01-0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