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책속 이미지] 장자·반야심경과 떠난 8400㎞

[그 책속 이미지] 장자·반야심경과 떠난 8400㎞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08-02 22:24
수정 2018-08-03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
자전거와 반야심경과 장자/유시범 지음/책과나무/336쪽/1만 6000원
고등학교에서 물리를 가르치던 교사는 퇴직 후 훌쩍 여행을 떠났다. 10년 전부터 자신을 짓누르던 ‘정신과 육체와 관계의 군더더기가 주렁주렁 달리는 느낌’을 떨쳐버리기 위해서였다. 수채화 물감과 팔레트, 붓 한 자루, 스케치북을 챙겨들고 자전거에 오른다. 자신의 길잡이인 ‘반야심경’과 ‘장자’도 함께 넣었다. 그리고 서울에서 동해로, 동해에서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를 지나 중국 훈춘으로, 바이칼호수를 거쳐 몽골, 시베리아 횡단, 유럽의 끝 포르투갈 호카곶까지 218일 동안 모두 8400㎞를 달렸다.책에는 여행 중 빼곡히 적은 메모와 사진, 그리고 수채화 물감으로 그린 그림과 글이 담겼다. 러시아와 에스토니아 간 영토분쟁 현장인 이반고로드를 직접 보고, 저자는 ‘촉’과 ‘만’이 보름 동안 싸웠지만 결국엔 달팽이 뿔 위였다는 장자의 ‘칙양’ 이야기를 떠올리기도 한다.

시작점과 끝점만 정하고 일정을 따로 잡지 않은 채 내달린 여행기는 저돌적이면서 인간적이고, 철학적이다. 자연이 주는 경외감, 크고 작은 곤경에 기꺼이 손 내민 현지 사람들, 정신과 육체와 관계의 군더더기는 아마 여행 중 후드득 떨어져 나가지 않았을까.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08-03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