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석 평론가의 뉴스 품은 책] 교육정책 실험실이 된 교실, 코로나 ‘이후’엔 달라야 한다

[장동석 평론가의 뉴스 품은 책] 교육정책 실험실이 된 교실, 코로나 ‘이후’엔 달라야 한다

입력 2020-05-21 17:36
업데이트 2020-05-22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 그 자체/권재원 지음/우리학교/544쪽/3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여파로 다섯 차례나 연기했던 학교의 문이 우여곡절 끝에 열렸다. 이달 20일 고3 학생들부터 시작한 등교는 27일 고2·중3·초1∼2·유치원생, 6월 3일 고1·중2·초3∼4학년생, 6월 8일 중1·초5∼6학년 순으로 이어진다. 학부모들은 등교를 반기면서도 걱정스러운 눈빛이다. 아쉬운 점은 등교를 수차례 연기하는 동안 교육의 가치와 목적에 대한 다양한 논의도 이뤄졌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현실이다. 교육운동가 권재원의 ‘교육 그 자체’는 ‘온갖 정책의 실험대가 된 학교 현장’과 ‘배움의 동기가 꺾인 아이들’을 일으켜 세울 방도를 제시한다. 현직 교사인 저자는 “교육은 이제 우리에게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가능성”이라 말한다. 정치는 협잡에 가깝고, 경제는 가진 자들만의 리그이며, 그 외에 여러 분야에서 희망 혹은 가능성을 말할 수 있는 곳이 그 어디에도 없다. 교육은 새로운 세대에 대한 기대만 놓지 않는다면, 언제든 가능성을 배태하는 영역이다.

문제는 기대의 ‘방향’이다. 백년대계(百年大計)라면서도 한국 교육은 수시로 정책이 바뀐다. ‘교육의 본질’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교육에 관해 “어떤 사람을 무엇이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을 자신과 세계를 규정할 수 있는 존재로 만드는 것”이라면서, 이를 두고 “인간 존재의 선택지를 넓혀가는 과정”이라 표현한다. 당연히 교사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저자는 “가르침은 선생과 학생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 위한 끊임없는 교섭의 과정”이라 정의한다. 가르칠 것이 아무리 많은 교사라도 학생들과의 교섭에 실패하면 지루한 주입만 남을 뿐이다. 교사는 학생 개개인이 ‘스스로 자신과 세계를 규정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에 주력해야만 하는데, 그러려면 끊임없이 교육의 본질, 즉 교육 그 자체를 곱씹어야 한다. 저자는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교사들의 성실한 성찰에 더해, 학부모들도 교육받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아이들이 맹목적으로 성적과 경쟁에 내몰리는 대부분의 이유는 학부모들의 조급함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미래의 학교가 어떤 모습으로 변할지는 누구도 알지 못한다. 다만 코로나19 이후가 이전과 같을 수 없는 것처럼, 다음 세대의 교육도 이전 세대의 그것과 달라야 한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후’의 해결책이 이전과 달라진다고 해서 교육의 본질, 교육 그 자체는 바뀌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2020-05-22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