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희망 잃은 청년들, 분노를 쏟아냈다

희망 잃은 청년들, 분노를 쏟아냈다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2-01-13 18:26
업데이트 2022-01-14 0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2016 대선 ‘좌파’ 샌더스 돌풍
자유·보수주의에 ‘사다리’ 잃고
좌절 느낀 밀레니얼 세대 지지

韓 청년, 부모 스펙이 인생 결정
“지지하는 대선 후보 없다” 27%
그들 절망을 어떻게 풀지가 관건

밀레니얼 사회주의 선언
네이선 로빈슨 지음/안규남 옮김/동녘/440쪽/2만 2000원


불평등한 선진국
박재용 지음/북루덴스/464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심해진 양극화는 청년 세대를 불평등과 불공정의 늪으로 밀어 넣었다. 부모 세대보다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음에도 부모 세대보다 가난한 유일한 세대로도 꼽히는 밀레니얼들은 절망을 해소해 줄 정치인과 담론을 찾는다. 미국은 2016년 대선에서 ‘사회주의자’ 버니 샌더스(사진) 상원의원이 청년들의 지지를 얻고 돌풍을 일으켰지만, 아직 뚜렷한 길을 만나지 못한 우리나라 밀레니얼 세대의 고민은 깊어만 간다.  연합뉴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심해진 양극화는 청년 세대를 불평등과 불공정의 늪으로 밀어 넣었다. 부모 세대보다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음에도 부모 세대보다 가난한 유일한 세대로도 꼽히는 밀레니얼들은 절망을 해소해 줄 정치인과 담론을 찾는다. 미국은 2016년 대선에서 ‘사회주의자’ 버니 샌더스(사진) 상원의원이 청년들의 지지를 얻고 돌풍을 일으켰지만, 아직 뚜렷한 길을 만나지 못한 우리나라 밀레니얼 세대의 고민은 깊어만 간다.
연합뉴스
2016년 미국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을 위협할 만큼 열풍을 일으킨 버니 샌더스 뒤에는 젊은 세대와 지식인들의 전폭적 지지가 있었다. ‘선한 미국 자본주의’와 ‘악한 소비에트 사회주의’가 팽팽하게 대립했던 자본주의의 요람 미국에서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라고 밝히는 변방 정치인을 향한 밀레니얼 세대의 호응은 그 자체로도 기이한 신드롬이었다. 샌더스가 끝내 민주당 대선후보가 되지는 못했지만 힐러리에게 ‘상처뿐인 영광’을 안겼고, 2020년 대선을 앞두고도 조 바이든과 양강 구도를 형성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왜 미국 청년들은 과감히 좌회전을 선택했을까. 저널리스트이자 정치평론가로 2015년부터 청년들을 위한 급진적인 정치 잡지 ‘커런트 어페어스’를 내고 있는 1988년생 네이선 로빈슨은 자신과 같은 밀레니얼 세대들이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에 화가 났기 때문이라고 꼬집는다. 얼핏 부모들이 일군 풍족한 환경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세대로 보이지만 실상은 부모들보다 희망을 내다보기 어려운, 가장 똑똑하면서 가난한 세대가 돼 버린 청년들이 느끼는 벽을 이야기한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극심해진 양극화와 불평등은 이들의 사다리를 뚝 끊고 무력감과 좌절감을 키웠다.

수만명의 노숙자가 있는 뉴욕에는 투자용으로 구입해 비워 둔 부자들의 호화 콘도가 수만 채에 이르고, 예방 가능한 질병으로 죽어 가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 어딘가엔 페라리가 널려 있는 게 현실이다. 쉬지도 못하고 일하는 노동자들보다 부동산 임대로 돈을 굴리는 이들이 훨씬 많은 부를 소유한다. ‘당신이 성공하지 못한 것은 그만큼 열심히 노력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신자유주의식 성공 신화는 갈수록 청년들에게 노력 대신 절망을 부추길 뿐이다. 지난해 미국의 인구 증가 수는 1937년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저자는 약자와 소수자들의 고통에 냉담한 보수주의와 진짜 해결해야 할 문제 대신 안일함으로 불공정한 무한 경쟁을 방관하는 자유주의 대신 사회주의가 미래 세대를 위한 정치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사회주의가 새로운 답을 줄 수 있을 거란 메시지와 그 기대가 담긴 정치 현상들은 지금 우리나라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청년들을 짓누르는 현실만큼은 꼭 닮았다.
이미지 확대
47.6대1의 경쟁률을 보였던 2018년도 국가공무원 7급 필기 시험장 풍경. 연합뉴스
47.6대1의 경쟁률을 보였던 2018년도 국가공무원 7급 필기 시험장 풍경.
연합뉴스
누구보다 빠른 눈부신 성장으로 선진국에 오른 대한민국 안에서 벌어지는 각종 불평등을 조목조목 통계로 설명한 ‘불평등한 선진국’에서도 그 중심엔 청년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청년들은 ‘누구의 딸과 아들인가’가 앞으로의 인생을 좌우하는 ‘부모도 스펙’인 현실에 더욱 좌절한다. 특목고·자사고와 집중적인 사교육, 해외 언어연수 등 부모의 소득과 지위에 따라 자녀들이 사회에 진출하는 출발선은 크게 차이 나고 격차를 좀처럼 좁힐 수가 없다. 학령인구가 줄어도 강남3구와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리그는 더욱 공고해졌고 노동과 소수자, 지방일수록 불평등의 늪은 깊어 간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또다시 최저치를 경신했다.

희망이 사라진 사회, 대한민국 청년들은 이제 어떤 담론을 대안으로 선택할까. 지난 7~9일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8~39세 유권자 1000명을 상대로 ‘내일이 투표일이면 누구에게 투표할지’ 물은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 포인트) ‘지지후보가 없거나 모른다’는 응답이 26.7%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27.7%)를 지지한다는 응답의 뒤를 이었다. 대선이 두 달도 채 안 남은 지금까지도 청년들이 열광할 만큼 명쾌한 방향을 내놓는 후보를 아직 만나지 못한 것으로 읽힌다. 다만 ‘정권이 교체돼야 한다’는 53.7%의 응답으로 불만을 드러내고 있는 청년들의 절망을 누가, 어떻게 풀어 주는지가 ‘선진국’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한다.

허백윤 기자
2022-01-14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