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온라인 분노를 먹이 삼아 끓어오르는 ‘사회의 온도’

온라인 분노를 먹이 삼아 끓어오르는 ‘사회의 온도’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2-02-10 20:08
업데이트 2022-02-11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셜온난화/찰스 아서 지음/이승연 옮김/위즈덤하우스/472쪽/2만 2000원

온라인 세계엔 ‘1:9:90 법칙’이 있다. 1명이 콘텐츠를 만들면 9명이 댓글을 달거나 퍼 나르고, 나머지 90명은 보기만 한다는 내용이다. 여러 함의를 가진 법칙이지만 영향력 있는 소수에 의해 여론이 좌우되거나, 검증되지 않은 의견이 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의미로도 종종 쓰인다. 이전 오프라인 세계의 미디어 수용자들에 대한 평가도 이와 비슷했다. 정치적 메시지 등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수동적인 집단으로 인식됐다.

사람들은 다가올 온라인 세상에선 다를 것이라 여겼다. 수많은 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고, 거짓은 꼬리를 감추며, 진실만이 밝은 세상으로 나올 것이라 생각했다. 이제 그런 세상이 우리 곁에 바짝 다가와 있는 걸까.

새 책 ‘소셜온난화’는 촘촘해진 연결이 사회를 얼마나 암울한 방향으로 이끄는지 분석한 사회비평서다. ‘격분과 편가르기 진술’, ‘소셜미디어는 어떻게 정치를 양극화하는가’, ‘위험에 빠진 민주주의’ 등 대략의 목차만 훑어도 전체적인 얼개를 짐작할 수 있다. 많은 이의 바람과 달리 온라인 세상에선 사람들의 분노를 이용하는 세력이 득세했고 ‘사회의 온도’는 그만큼 펄펄 끓어올랐다. 수용자들 역시 자신이 좋아할 콘텐츠를 끊임없이 추천해 주는 알고리즘에 갇혀 확증편향에 빠지고 말았다. 그 뒤에 선 플랫폼 기업들은 수수방관하며 수익 창출에만 골몰하고 있다. 저자가 보는 디스토피아적 풍경이다.

책 제목인 ‘소셜온난화’는 환경 재앙인 ‘기후온난화’에 빗댄 표현이다. 미처 의식하지 못한 사이에 재앙으로 다가섰고, 되돌리기 힘든 상황까지 치닫고 있으며, 전 지구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둘은 매우 흡사하다. “돈 버는 사람 따로 있고, 대가를 치르는 사람 따로 있는 불공평한 재난”이란 점도 그렇다. 그렇다고 휴대전화와 소셜네트워크가 없는 시대로 회귀할 수는 없다. 저자는 “소셜네트워크는 통합을 방해하는 도구가 돼 버렸다”며 “소셜온난화가 진행된 정도를 고려하면 우리가 의존해 왔던 고장난 도구를 재설계하고 개조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손원천 기자
2022-02-11 1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