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단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사는 것 자체가 숭고하니까

대단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사는 것 자체가 숭고하니까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04-14 17:54
업데이트 2022-04-15 0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산조각/정호승 지음/시공사/292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허허….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을 얻은 것이고, 산산조각이 나면 산산조각으로 살아가면 되지 무슨 걱정이 그리 많은가.”(‘룸비니 부처님’)

연대보증을 섰다가 친구의 빚을 몽땅 떠안게 된 남자에게 갈비뼈가 다 드러날 정도로 빼빼 마른 모조품 불상은 이렇게 말한다. 세속적 욕망과 허상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참모습을 올곧이 보라고 말이다.

정호승 시인이 올해로 등단 50주년을 맞아 우화소설집 ‘산산조각’을 펴냈다. 시에 천착하는 중에도 동시와 동화, 에세이 등 다양한 영역을 오간 시인의 이력과 문학관이 집대성된 작품이다. 시의 압축된 묘사 이면에 숨겨진 서사를 동화적 상상력으로 재탄생시키고 우화라는 형식을 빌려 독자에게 친근하게 다가온다.

작품은 주머니가 달린 수의, 모조품 불상, 참나무, 걸레, 숫돌, 해우소 받침돌 등 누군가는 평생 한번도 주목해 보지 않았을 것들을 주연으로 세운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하찮은 존재들로 ‘왜 나는 이런 삶을 살아야 하는가’ 의문을 갖는다. 가령 ‘참나무 이야기’의 참나무는 대웅전의 대들보나 목불(木佛)이 되겠다는 꿈을 키운다. ‘선암사 해우소’의 바윗돌은 차밭의 싱그러운 환경 속에서 안락하게 지낸다. 하지만 참나무와 바윗돌은 전혀 뜻하지 않은 처지에 놓인다. 참나무는 장작이 되고 바윗돌은 해우소의 기둥을 받치며 똥물을 맞고 사는 신세가 된다. 꿈꾸던 미래와 안락함을 빼앗긴 두 존재는 낙담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이들은 묵묵히 견디는 가운데 삶의 더 높은 경지에 다다른다.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진 작가는 자신의 본분을 다하는 것으로 완전함에 이르고자 하는 과정을 보여 줌으로써 삶의 숭고함을 일깨워 준다.



윤수경 기자
2022-04-15 1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