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끊임없는 딴짓, 끊김 없이 35년

끊임없는 딴짓, 끊김 없이 35년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07-28 17:46
업데이트 2022-07-29 0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단편집 ‘웅어의 맛’ 낸 구효서

‘땡땡땡’, 임의 언어가 본질로 정착
우린 언어화 안 되는 건 인식 안 해
감각에게 ‘나’라는 화자 역할 부여
‘요요소설’로 또 다른 딴짓 나섰죠

이미지 확대
감각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소설 ‘웅어의 맛’으로 독자를 찾아온 구효서 작가가 지난 27일 서울 노원구 경춘선 숲길에 있는 한 동네서점에서 “말과 생각, 감각에 갇히지 않기 위해 이 소설을 썼다”고 얘기하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감각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소설 ‘웅어의 맛’으로 독자를 찾아온 구효서 작가가 지난 27일 서울 노원구 경춘선 숲길에 있는 한 동네서점에서 “말과 생각, 감각에 갇히지 않기 위해 이 소설을 썼다”고 얘기하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뭔가 딴짓, 새로운 짓을 하고 싶을 때 막 쓰고 싶어집니다. 이전처럼 쓰면 무난하겠지만 재미가 없어요. 비록 실패할 가능성은 크겠지만 딴짓이 짜릿해요.”

1987년 등단 이래 탄탄한 주제 의식과 전위적인 형식 실험을 선보이며 이효석 문학상, 황순원 문학상, 한무숙 문학상, 동인문학상을 휩쓴 소설가 구효서(64)가 소설집 ‘웅어의 맛’을 들고 찾아왔다. 등단 이후 큰 공백 없이 글을 써 온 힘의 원천을 묻자 “딴짓이 생겨먹은 기질이자 변덕이 병이기에 가능했다”고 말하는 작가를 지난 27일 서울 노원구의 한 동네서점에서 만났다.

‘웅어의 맛’에는 반야심경의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등 오감을 소재로 한 소설에 오감이 작동해 불러일으킬 의식, 법(法)을 추가한 6편의 중·단편 소설이 담겼다. 이 중 성에 해당하는 ‘풍경 소리’는 2017년 등단 30년을 맞은 작가에게 이상문학상을 안겨 준 작품이기도 하다.

이번 소설집에서 작가는 오감에게 화자의 역할을 부여하는 실험을 감행했다. 이야기를 이끌던 화자 외에 또 다른 ‘나’라는 화자가 등장한 순간 독자는 당황하게 된다. 각 소설은 등장인물의 입장에서 서술되다 감각인 ‘나’라는 존재가 툭 튀어나와 이야기를 이끌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그는 “우리가 학교 종이 ‘땡땡땡’이라고 하는 순간 종소리는 ‘땡땡땡’이 된다. 임의의 언어가 사물의 본질로 정착하고 만 것”이라며 “감각기관을 통해 느끼는 것은 제한된 감각일 뿐 그것을 마치 전부인 양 말하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식이라는 것은 모두 언어로부터 나오고 언어화되지 않는 것을 우리는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언어로 표현될 수 있는 감각의 범위는 제한돼 있고 오감으로 감지할 수 없는 감각의 범위가 훨씬 넓다”고 덧붙였다.

소설에서 화자 역할을 담당하는 ‘나’는 언어로 규정되지 않은, 느낄 수 없는 감각이다. ‘육두구 향’에서는 ‘그런 냄새를 일컬어 누구는 기미라고 하고 누구는 후라고 하고 누구는 태초의 향취라고 했다. 그러나 일컫는 말은 일컫는 대상과도, 뜻과도 하나일 수 없으니 나를 무어라 일컫든 제대로 일컫는 게 아니고 마는 시절이 되어 버렸다’고 썼다.

작가는 “‘나’는 우리를 굽어보고 있는 제3의 시선, 인문학에서 이야기하는 대타자, 혹은 초월자일 수 있다”며 “왜 이런 소설을 썼냐고 묻는다면 현실 고통과 번민이 대타자의 층위에서 보면 사실 별것이 아니고 가소로울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효용이 있다고 말하고 싶다”고 했다.

작가는 등단 이후 줄곧 언어가 가진 위력을 경계해 왔다. 실제로 1991년 첫 장편인 ‘늪을 건너는 법’ 출간 당시 작가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굳게 믿고 있는 것들에 대해 회의를 가져 보자는 생각에서 이 작품을 쓰게 됐다”고 했으며 앞서 2017년 출간한 ‘아닌 계절’에서도 “현실의 반영과 모방을 버리고 현실 자체를 의심하고 불신하는 방식의 소설을 썼다”고 밝힌 바 있다.

작가의 딴짓은 또 시작됐다. “최근 묵직함에서 벗어나 친근하게 ‘요’로 끝나는 소설인 ‘요요소설 시리즈’를 쓰고 있어요. 또 어떤 사회에서 규약이나 관례로 받아들이는 ‘코드’를 의심하는 글도 쓰고 있죠. 제 글쓰기는 이문파문(以文破文)이에요. 글이 정체성을 가지면 위험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내가 글을 쓰지만, 또 내가 그 글을 깨야만 하는 겁니다.”
윤수경 기자
2022-07-29 1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