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무것도 안 했더니 녀석들이 돌아왔다

아무것도 안 했더니 녀석들이 돌아왔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2-09-08 17:06
업데이트 2022-09-09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막대한 비용 들여 일구던 경작지
생각을 뒤집고 20년간 재야생화
인간의 손길이 사라진 자연에서
곤충과 동물·목초들이 자리잡아
자연 보존이 농업 생산에도 도움

이미지 확대
찰스 버렐과 이저벨라 트리 부부는 영국 동남부 지역 ‘넵 캐슬’ 사유지 재야생화 작업을 통해 농경지를 온갖 생물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땅으로 탈바꿈시켰다. 2004년 여름에는 사유지 남쪽 해머 연못 일대의 들판의 경계가 뚜렷했다. 글항아리 제공
찰스 버렐과 이저벨라 트리 부부는 영국 동남부 지역 ‘넵 캐슬’ 사유지 재야생화 작업을 통해 농경지를 온갖 생물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땅으로 탈바꿈시켰다. 2004년 여름에는 사유지 남쪽 해머 연못 일대의 들판의 경계가 뚜렷했다. 글항아리 제공
인류 역사에서 땅은 인간의 생존과 주거를 위한 필수 공간으로 여겨졌다. 기근에 대한 불안감으로 생존을 위해선 한 뙈기의 땅도 놀려서는 안 된다는 정서가 우세해 인류는 꾸준히 농지를 확대해 왔다. 하지만 인간이 오랜 기간 경작하던 곳을 자연에 맡겨 두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이미지 확대
2017년 가을의 해머 연못 일대는 무성하게 자란 관목과 갯버들(자생 잡종 버드나무)로 가득하다. 글항아리 제공
2017년 가을의 해머 연못 일대는 무성하게 자란 관목과 갯버들(자생 잡종 버드나무)로 가득하다. 글항아리 제공
영국 작가 이저벨라 트리의 ‘야생 쪽으로’는 저자와 남편인 찰리 버렐이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경작지를 20여년에 걸쳐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야생 상태’로 되돌린 모험적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이를 통해 인간의 손길이 최소화됐을 때 자연은 나름의 법칙에 따라 자신의 길을 올곧게 찾아간다는 점을 입증한다.
이미지 확대
관목이 있는 들판은 나이팅게일의 서식지가 됐다. 글항아리 제공
관목이 있는 들판은 나이팅게일의 서식지가 됐다. 글항아리 제공
찰리는 1987년 조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영국 동남부의 3500에이커(약 14㎢) 넓이의 사유지 ‘넵 캐슬’에서 당시 적자를 내던 농사를 흑자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했다. 땅을 쟁기와 로터베이터(회전식 경운기)로 갈아 양질의 경작토로 만들고, 제초제를 뿌리고 써레질을 했다. 하지만 이들의 농산물은 러시아, 호주 등의 저렴한 곡물과 경쟁해야 해 농사를 지을수록 재정 상태는 악화됐고 땅도 부자연스러운 상태로 변질돼 갔다.

이들 부부는 2001년 농사를 짓는 대신 토지를 자연 그대로 놔둔다는 결심을 한다. 경작되지 않은 상태로 되돌리는 ‘재야생화’ 작업을 시작한 것이다. 이웃 농부들은 “더 많은 식량을 확보해야 하는 이 시기에 땅의 낭비”라며 비판했다. 무성한 잡초는 보는 이들을 불쾌하게 했다.
이미지 확대
관목이 있는 들판은 다마사슴의 서식지가 됐다. 글항아리 제공
관목이 있는 들판은 다마사슴의 서식지가 됐다. 글항아리 제공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곤충, 나비, 호박벌이 날아오기 시작했다. 사슴들이 돌아다녔고, 까마귀가 사슴 등에 앉아 기생충을 쪼아먹었고, 새끼 사슴들이 태어났다. 재야생화를 시작한 지 8년 만인 2009년 넵 캐슬 일대는 박쥐를 비롯해 보존 필요성이 있는 60종의 생물로 가득 찼다. 특히 1967년부터 2007년 사이 영국에서는 나이팅게일(꾀꼬리와 비슷한 딱샛과의 작은 새)의 개체수가 91% 줄었는데, 살아남은 나이팅게일의 상당수가 저자의 땅에 둥지를 틀고 있다. 2010년엔 42마리의 다마사슴이 합류해 활기 넘치는 새로운 경관을 조성했다.

저자는 자연과 야생, 아름다운 풍경이란 무엇인가 등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던진다. 우리의 자연 경관이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선 ‘울폐 삼림’이어야 마땅한가. 저자는 이에 대해 자연스러운 숲 경관은 오히려 ‘탁 트인 어떤 것’이며 야생의 나무, 관목, 가축들이 풀 뜯는 목초지로 이뤄진 유럽의 황무지가 자연과 가장 가까운 경관이라고 주장한다. 현대 영국인들은 관목이 비생산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가시 있는 관목이 묘목을 훨씬 더 잘 보호하고 좋은 성장 환경을 제공한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산업화된 국가들은 매년 6억 7000만t의 식량을 낭비한다. 영국에선 2013년에 낭비된 총 1500만t의 음식물 중 가정에서 버린 양이 700만t에 이른다. 그럼에도 식품 산업은 인간에게 더 많은 식품 소비를 부추긴다. 농업 기술의 발전으로 세계는 70억명이 넘는 현재 인구보다 30억명을 더 먹여 살릴 수 있는 식량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땅은 농업을 위한 것이고 인간이 먹고살기 위해 생산적이어야 한다는 의견은 비합리적이다.
이미지 확대
야생 쪽으로

이저벨라 트리 지음/박우정 옮김
글항아리/504쪽/2만5000원 

저자는 농업과 자연보존은 앙숙이 될 필요가 없다며 최상의 농지가 아닌 지역은 자연에 넘길 것을 권한다. 재야생화는 토지 황폐화를 중단시키고 수자원을 확보하고 작물 수분을 해 줄 곤충들을 공급해 장기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농업과 식량 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

원형 녹지가 드문 도심 아파트촌에 주로 사는 한국인들에게 재야생화는 다른 세상의 꿈 같은 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자연보호 구역을 걸을 때 분노가 줄어들고 긍정적 기분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는 자연이 우리 미래의 열쇠를 쥐고 있음을 일깨워 준다. 땅에 대한 편견과 싸우며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 나가는 이들 부부의 노력이 경이롭다.

하종훈 기자
2022-09-09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