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 세계 주류 문화로 자리잡은 K콘텐츠 비결은

전 세계 주류 문화로 자리잡은 K콘텐츠 비결은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2-09-15 20:30
업데이트 2022-09-16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왜 떴을까
이은주, 김윤미 지음
혜화동/268쪽/1만 6800원

이미지 확대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의 에미상을 휩쓸었다. 2020년엔 영화 ‘기생충’이 할리우드 수작들을 제치고 아카데미상 주요 부문을 석권했다.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 등은 맡겨둔 물건 찾듯 몇 해 내리 음악 관련 상을 ‘수집’하고 있다. 바야흐로 세계는 지금 K콘텐츠의 시대다. 자고 일어나니 ‘붕’ 떠 있던 건 아닐 테고, 뭔가 동력이 있었을 것이다. ‘왜 떴을까’는 전 세계의 주류 문화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K콘텐츠의 성장 동력을 분석한 책이다. 서울신문 이은주 기자 등 20년 가까이 대중문화계의 최전선을 발로 누빈 두 기자가 그간 쌓아 온 경험치들을 풀어냈다.

핵심은 ‘K크리에이티브’다. 저자들은 이를 “앞선 기획력, 세련된 스타일, 완성도 높은 만듦새를 이끄는 창조력”으로 정의한다. 내수 시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수용자들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완성됐다. 이 “독창적이고 고유한 K크리에이티브가 빚어낸 결과물”이 바로 K콘텐츠다.

책은 K크리에이티브를 공감, 팬덤, 트렌드의 세 가지 키워드로 분석하고 있다. 글로벌 히트를 기록한 ‘오징어 게임’ 등 K드라마는 한국적인 소재를 기반으로 현대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다루면서도 인간에 대한 섬세한 통찰과 휴머니즘을 그려 세계인들로부터 보편적인 공감대를 이끌어 냈다. 케이팝은 연습생 시스템과 고유한 세계관, 팬덤과의 쌍방향 소통을 통해 주류 문화 반열에 올랐고 K예능은 플랫폼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치열한 반전과 성장을 거듭했다. K크리에이티브의 5가지 흥행 코드도 흥미롭다. 한국 장르물에서 공통적으로 선보인 K디스토피아를 비롯해 한류스타를 배출하고 한국문화의 매력을 극대화한 K로맨스, 예상을 깨는 반전과 카타르시스를 안겨 준 K막장 등을 짚고 있다.

저자들은 “K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창작자들이 마음껏 상상력을 펼치고 지식재산권(IP)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며 국내외에서 K콘텐츠가 올바르게 유통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원천 기자
2022-09-16 1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