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모든 사물은 썩는다, 고로 지구는 존재한다… 기후위기의 시대, 썩어야 살 수 있다

모든 사물은 썩는다, 고로 지구는 존재한다… 기후위기의 시대, 썩어야 살 수 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12-08 20:04
업데이트 2022-12-09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분해의 철학/후지하라 다쓰시 지음/박성관 옮김/사월의책/396쪽/2만 3000원
마이코스피어/박현숙 지음/계단/288쪽/1만 8000원

물질의 성질 바꾸는 발효와 부패 
자연계에선 하나의 과정인데도 
다른 시선으로 기피하거나 외면


산업시대 이후 부패를 금기시 
썩지 않는 플라스틱 대량 생산 
기후위기로 지구 더 병들게 해
이미지 확대
날씨가 쌀쌀해지면 따뜻한 방 안에 간식거리를 담은 쟁반을 놓고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는 풍경이 떠오른다. 찐빵, 군고구마, 붕어빵처럼 겨울철을 대표하는 간식은 바로 귤이다. 귤은 잘못 보관하면 일주일도 안 돼 밑이 눌려 곰팡이가 핀다. 곰팡이를 보는 순간 다른 곳이 멀쩡해도 께름칙해 버리고 만다.

습기가 많은 곳에 미생물이 번식해 생기는 곰팡이, 고약한 냄새를 풍기고 형체가 흐물흐물해지는 부패는 모두 기피 대상이다. 반면 와인, 막걸리, 간장, 된장, 김치 같은 먹거리를 두고는 비슷한 현상인데도 꼭 필요하다고 한다. 물질의 성질을 바꾸는 화학적, 생물학적 변화인 숙성과 발효가 더 진전되면 부패가 된다. 하나의 과정인데도 발효와 부패를 보는 시선이 이렇게 다른 이유는 뭘까.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미생물학자인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박현숙 교수가 쓴 ‘마이코스피어’와 농업사학자인 일본 교토대 인문과학연구소 후지하라 다쓰시 교수의 ‘분해의 철학’은 부패와 발효, 이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해 자세히 다룬다. 두 책은 분명 같은 듯 다른 면이 있다.

곰팡이 세상이라는 의미의 ‘마이코스피어’는 사람의 눈에 쉽게 띄지 않지만 다양한 화학적 반응과 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미생물과 세균에 대해 과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반면 ‘분해의 철학’은 부패와 발효 과정을 ‘분해’라는 생태학적 개념에서 접근해 철학, 인류학, 사회학 등을 아우르는 인문학적 고찰로 확장시킨다. 그렇기에 ‘마이코스피어’를 읽은 뒤 ‘분해의 철학’을 집어 드는 것이 훨씬 깊이 있는 독해를 가능하게 해 주리라 생각된다.

미생물에 의한 부패는 자연계에서 꼭 필요한 현상이지만 외면받고 있는 그늘 속 존재다. 인류의 진보라는 낙관론으로 시작된 근대 산업혁명 이후 분해는 사람들이 더욱 꺼리는 대상이 됐다고 저자들은 지적한다. 분해 기피 현상이 누적되면서 인류는 각종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라는 결과와 맞닥뜨리게 된 것이다. 썩지 않는 플라스틱 때문에 해양 쓰레기는 쌓여 가고, 바다를 터전으로 살고 있는 동물들은 먹잇감으로 착각해 삼키고 죽어 간다. 자연적으로 거의 분해되지 않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는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의류(왼쪽)와 버섯도 모두 세균과 곰팡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미국 산림청 제공
지의류(왼쪽)와 버섯도 모두 세균과 곰팡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미국 산림청 제공
분해를 피하다 보니 곰팡이나 세균은 당연히 박멸해야 할 존재로만 인식된다. 곰팡이를 없애는 데 사용하는 항진균제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문제는 세균의 대사 과정이 대부분 사람과 비슷하다는 점이다. 곰팡이 대사 과정을 저해하는 물질은 인체에도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항생제는 세균을 죽여 인류의 목숨을 구하지만 항진균제는 사람까지 죽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류는 곰팡이와 함께 살 방법을 고민해야 하며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생산력 증대가 아니라 분해력이라고 저자들은 강조한다.

두 책을 읽고 나면 지구는 결코 인간만의 것이 아니라는 점을 다시금 깨닫게 될 것이다. 지구에는 어느 누구 무시해도 되는 사람이 없고 멸종시켜 없애야 할 존재도 없다는 것이 이 책들의 진정한 교훈이다.

 
유용하 기자
2022-12-09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