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탈고까지 25년… 모든 힘 쏟아부은 필생의 역작”

“탈고까지 25년… 모든 힘 쏟아부은 필생의 역작”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2-27 18:43
업데이트 2024-02-28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흥길 장편 ‘문신’ 5권 완간

일제강점기 한 가족의 고민·열정
고향 그리는 귀소본능 연결지어
농익은 전라도 사투리로 담아내
“판소리 율조처럼 표현하기 위해
과감하게 어순 바꾸고 토씨 생략”


이미지 확대
장편소설 ‘문신’ 완간을 기념해 27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윤흥길 작가는 “대하소설을 쓰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고 이 작품은 ‘중하소설’쯤 된다”고 말하며 웃었다. 문학동네 제공
장편소설 ‘문신’ 완간을 기념해 27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윤흥길 작가는 “대하소설을 쓰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고 이 작품은 ‘중하소설’쯤 된다”고 말하며 웃었다.
문학동네 제공
질펀한 전라도 사투리에 한민족의 고민과 열정이 농밀하게 담겼다. 등단 56년차, 한국문학의 거목 윤흥길(82) 작가는 이 작품을 “필생의 역작”이라고 칭하길 주저하지 않았다. 집필부터 탈고까지 무려 25년이 걸렸다는 장편소설 ‘문신’(사진·문학동네) 이야기다. 작품 완간을 계기로 27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간담회를 통해 윤 작가는 뜻밖의 이야기를 했다. “소설의 서두를 시작한 것까지 치면 30년이 넘는데, 너무 길면 부끄러우니 25년 정도로 이야기하게 됐다.” 노작가는 쑥스러운 웃음을 지었다.

“쓰는 동안 독자에게 불친절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문장의 어순을 바꾸고 토씨를 생략했어요. 판소리 율조의 흉내를 내기 위해서였죠. 어느 독자는 문장이 왜 이렇게 안 읽히냐고 불평하기도 했는데, 또 어떤 이는 재밌게 잘 읽었다고 하기도 하고요.”

유장했던 세월만큼 질곡도 많았다. 작품을 연재하던 지면이 두 차례나 폐간됐고 이에 따라 제목도 두 번 바뀌었다. 원래 제목인 ‘밟아도 아리랑’에서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이었다가 ‘문신’으로 최종 정리됐다. 징용에 끌려 나가기 전 몸에 문신을 새기는 ‘부병자자’ 풍습에서 제목을 따왔다. 윤 작가는 이것을 한민족의 정체성과 관련지어 설명했다. 죽어서는 꼭 고향에 묻히겠다는 특유의 ‘귀소본능’이다.

“소설에 실제로 나쁜 놈들이 많이 나와요. 분명히 따지고 보면 악인인데, 왜인지 이야기를 읽고 나면 악인 같지 않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건 해학적인 문장으로 인물의 행동과 마음을 다뤘기 때문이죠. 악행의 대목을 웃으면서 접하게 되니까.”
이미지 확대
소설은 일제의 식민 통치 아래서 창씨개명도 거리끼지 않고 적극적으로 친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천석꾼 최명배와 그의 자식 부용, 순금, 귀용의 일생을 다룬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 밟아도 밟아도 죽지만 말아라 / 또다시 꽃피는 봄이 오리라’ 소설의 첫 제목이기도 했던 ‘밟아도 아리랑’은 우리 민요인 아리랑을 개사한 노래다. 전쟁터나 산업 현장에 징용된 조선인들이 노상 입에 달고 살았던 것이란다. 작가는 이 노래에서 한민족의 생명력을 읽어 냈다. 밟아도 죽지 않는 잡초처럼 끈질기게 살아남아 꿈에 그리던 고향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다.

“21세기의 고전이라는 말은 상당히 부담스럽고 고쳐 달라고 하고 싶을 정도예요. 그런데 또 출판사에서는 그럴 필요가 있었을 테니까…. 하지만 필생의 역작이란 말은 수긍이 갑니다. 정말 모든 힘을 기울여서 노력 끝에 얻어 낸 작품이니까요.”

그는 작가의 말에서 “요즘 내 소설적 관심은 현재에서 뒷걸음질해 역사나 전통 쪽을 자주 기웃거리고 있다”며 “미래의 궁극은 어쩌면 과거일지도 모른다는 역설이 요즘의 나를 사로잡고 있는 셈”이라고 했다. 그는 여든을 넘긴 노구에도 벌써 차기작을 구상하고 있다고 했다. 조선왕조 말기 무렵의 이야기로 지금 자료를 모으고 있으며 내년쯤 집필을 시작할 계획이란다.

“소설은 과연 무슨 이야기를 쓰고 어떤 문제를 다뤄야 하는가. 한때 인간을 중시하는 순수문학과 사회를 중시하는 참여문학이 크게 대립했던 적이 있죠. 저는 두 가지 중 어느 하나만 중요한 것 같지 않아요. 물과 물고기죠. 인간이 물고기이고 사회가 물인데, 물이 없는 물고기는 죽을 수밖에 없고 물고기 없는 물은 의미가 없는 것이니까. 문학 속에서 같은 비중으로 다뤄져야 옳다고 봐요.”
오경진 기자
2024-02-28 2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