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1차 ‘대중공사’ 첫 의제로 확정
한국 불교의 맏형 격인 대한불교 조계종이 총무원장 선출제도를 둘러싼 논의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출·재가자들의 연중 회의체인 ‘종단 혁신과 백년대계를 위한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100인 대중공사)가 첫 의제로 총무원장 선출제도를 확정한 데 이어 25개 교구본사 주지들이 선출제를 집중 논의할 방침이다. 그런 가운데 최고 입법기관인 중앙종회도 총무원장 선출제 변경을 위한 원포인트 종회를 열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서울신문 DB

지난해 2월 충남 공주 한국문화연수원에서 열린 조계종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 모습. 조계종 총무원장 선출제도를 확 바꾸자는 논의가 확산돼 불교계 안팎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조계종에서는 현행 총무원장 선출제도와 직선제, 염화미소법, 종단쇄신위원회안 등이 집중 거론된다. 현행 방식은 중앙종회 의원 81명과 24개 교구본사 240명 등 321명의 선거인단이 투표하는 간선제다. 여기에 선거인단 규모를 4000명 규모로 크게 늘리는 준직선제안과 조계종 1만여명의 모든 비구, 비구니가 직접 투표하는 완전직선제가 보완책으로 거론된다. 법등 스님 등은 복수의 후보 추천 후 종정 스님의 추첨으로 최종 결정하는 염화미소법을 제안해 놓고 있고 종단쇄신위원회도 조만간 공청회를 열어 대중의 입장을 조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100인 대중공사는 이 안들의 장단점을 비교 제시하면서 선출제도 논의를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지난달 19일 총무원장선출제도혁신위원회 5차 회의에 참석해 “총무원장 임기를 5년에서 6년으로, 단임제로 했으면 좋겠다”며 “6월 중앙종회에서 단일 안건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100인 대중공사 집행위원회는 “총무원장 선거제는 참종권 확대라는 긍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금권 과열 혼탁 선거, 위계질서 쇠퇴 등 부정적 측면이 적지 않아 제도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향후 선출제는 과거 폐단을 극복하고 종단 내 만연한 불신과 패배감을 걷어 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100인 대중공사 추진위는 올해 대중공사를 총 5차례에 걸쳐 서울에서 여는 것과 별도로 지역 및 본사에서 지역별 대중공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3차(8월 25일·‘종단화합과 개혁방안’)와 4차(10월 20일) 대중공사의 의제도 총무원장 선출제 못지않게 눈길을 모은다. 특히 4차 공사에선 교육원장 현응 스님의 발제로, 현재 논란 중인 ‘깨달음’ 주제의 토론이 열릴 예정이어서 벌써부터 불교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03-0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