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독도의 날’… 직접 가 보니
해저 케이블·각석문 등 방치 상태
“울릉도 유적, 독도 영유권에 중요”
정부, 일본과 달리 예산 대폭 삭감
![지난 19일 동해에서 바라본 독도. 총 91개의 섬으로 이뤄진 독도 중 대표 섬인 동도(왼쪽)와 서도를 의미하듯 2개의 태극기가 강한 바람을 맞으며 펄럭이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4/SSC_20231024180840_O2.jpg)
![지난 19일 동해에서 바라본 독도. 총 91개의 섬으로 이뤄진 독도 중 대표 섬인 동도(왼쪽)와 서도를 의미하듯 2개의 태극기가 강한 바람을 맞으며 펄럭이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0/24/SSC_20231024180840.jpg)
지난 19일 동해에서 바라본 독도. 총 91개의 섬으로 이뤄진 독도 중 대표 섬인 동도(왼쪽)와 서도를 의미하듯 2개의 태극기가 강한 바람을 맞으며 펄럭이고 있다.
25일인 ‘독도의 날’에 앞서 동북아역사재단이 진행한 울릉도·독도 탐방 행사에선 온 국민에게 나라 땅으로 사랑받지만 여전히 외로운 섬, 독도의 현주소가 드러났다. 독도의 날은 고종이 1900년 10월 25일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정하는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를 근거로 정했다. 법정기념일이 아니라 존재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국제법상 오랫동안 무인도로 있던 섬에 대해 주권과 관할권을 내세우려면 이웃하는 큰 섬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울릉도에 독도박물관 등 독도를 홍보하는 공간을 갖춰 놓은 배경이다. 하지만 일부 시설은 방치된 상태다.
울릉도 사동 해안가에는 수풀을 헤치고 찾아봐야만 나타나는 해저 케이블이 있다. 일제가 1904년(또는 1905년) 일본 마쓰에부터 독도·울릉도를 거쳐 강원 원산까지 연결한 흔적이다. 당시 일제는 울릉도를 통신 요충지 삼아 한반도를 넘어 영토를 확장하려는 야욕을 품었다. 또 울릉 지역의 수토(국토를 지킨다는 뜻) 역사를 새긴 태하리 각석문은 마모가 심해 판독이 어렵고, 통일신라 시대 것으로 울릉 개척의 역사가 묻힌 현포리 고분군은 대부분 파괴된 채 흔적만 겨우 유지하고 있다.
홍성근 동북아역사재단 교육홍보실장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려면 역사·지리·국제법적으로 울릉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면서 “울릉도의 유적지를 제대로 보전하는 게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에서도 외면받는 게 독도의 현실이다. 지난 9월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독도 등 타국과 영유권을 다투는 지역 관련 경비로 약 3억엔(약 27억원)을 편성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우리 정부는 일본의 역사 왜곡 대응 예산을 대폭 줄였다. 동북아역사재단의 독도주권수호 예산만 해도 올해 5억 1700만원에서 내년 3억 8800만원으로 25% 삭감됐다.
2023-10-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