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링 이펙트’ 대신 ‘위축 효과’로 쓰세요

‘칠링 이펙트’ 대신 ‘위축 효과’로 쓰세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01-12 02:39
업데이트 2024-01-12 0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 용어 67개 쉬운 우리말 발표

지난해 다듬어 써야 할 말 1위로 ‘칠링 이펙트’가 꼽혔다. 과도한 규제나 압력으로 말과 행동이 위축되는 현상을 뜻하는데, ‘위축 효과’로 바꾸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가장 잘 다듬어진 말로 꼽힌 것은 ‘솔로 이코노미’를 바꾼 ‘1인 가구 경제’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쉬운 우리말로 다듬은 외국 용어 67개를 11일 안내했다. 이 용어들은 지난해 3~11월 18차례 전문가 논의와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선정했다.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용어는 ‘칠링 이펙트’였다. ‘멀웨어’, ‘생크추어리’, ‘콜 포비아’ 등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국립국어원은 각각 ‘악성 프로그램’, ‘동물보호구역’, ‘통화 기피증’을 고친 우리말로 내놨다.

가장 잘 바꿨다고 답한 단어는 ‘1인 가구 경제’로 응답자의 92.3%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여러 경제활동을 의미하는 ‘솔로 이코노미’를 알기 쉽게 다듬었다는 반응을 얻었다. 이 밖에 ‘멀웨어’를 손질한 ‘악성 프로그램’, ‘아트 테크’를 바꾼 ‘예술품 투자’ 등이 잘 다듬어진 말로 선정됐다.

다만 ‘키오스크’, ‘테이블 오더’, ‘무라벨’과 같이 자주 쓰는 외국 용어일수록 ‘우리말로 바꿀 필요가 적다’고 답했다. 국립국어원은 이를 두고 “어려운 외국 용어가 우리 언어생활에 정착되기 전에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공공성이 높거나 국민생활과 밀접한 용어 가운데 낯선 외국 용어를 언론계, 학계, 대학생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새말모임’에서 논의해 다듬는다. 지금까지 바꾼 말들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www.korean.go.kr)의 ‘다듬은 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김기중 기자
2024-01-12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