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18)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18)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입력 2011-01-27 00:00
업데이트 2011-01-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0년 모진 풍파 거뜬히 이겨내고 생명의 약동 부드럽게 일깨워주다

니체는 젊은 시절에 생을 마감한 자신의 아버지를 ‘생명 그 자체였다기보다 생명을 친절하고 부드럽게 환기시켜 주는 사람’이라고 걸작 ‘이 사람을 보라’에 썼다. 스스로의 삶을 오래 이어가지 못할 만큼 병약한 생을 살았지만, 그의 아버지는 스쳐 지나는 삶을 통해 생명의 참 의미를 부드럽게 환기시켜 주었다는 절묘한 표현이다. 그건 변화를 드러내지 않으며 직수굿이 살아가는 늙은 생명체, 이를테면 크고 오래된 나무들에게서 바랄 수 있는 일이지 싶다. 사람과 더불어 살면서 생명의 약동을 아주 천천히, 그래서 더 부드럽게 일깨워 주는 건 이 세상 모든 나무들이 사람의 마을에 살아가는 귀한 이유일 게다.

이미지 확대
굵은 줄기가 둘로 나뉘어지며 사방으로 가지를 넓게 펼치고 있는 푸조나무의 위용스러운 모습.
굵은 줄기가 둘로 나뉘어지며 사방으로 가지를 넓게 펼치고 있는 푸조나무의 위용스러운 모습.


●역사의 흔적으로 남은 거대한 생명

가을까지 내내 짙푸른 녹음을 자랑하고, 겨울 바람 불어오면서 잎을 떨어뜨리면 나무는 잠시 숨을 멈추고 죽은 듯이 보인다. 살아 있는 생명체로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 오랜 세월을 지나며 생로병사의 여정을 고스란히 담아낸 늙은 나무의 울퉁불퉁한 줄기는 커다란 바위가 건네주는 무생물의 느낌과 흡사하다. 영하 16도를 넘나들던 혹독한 추위에 적응된 탓인지 반도의 남쪽 부산을 휘감아도는 겨울 바람은 오히려 따스하게 느껴진다. 따뜻한 지방을 골라서 보금자리를 잡고 살아가는 푸조나무를 스쳐가는 겨울 한낮의 바람은 차갑지만 맵지 않다. 삽상하다.

텅빈 가지를 넓게 펼친 푸조나무 곁으로 이어지는 언덕으로 병색이 짙은 마을 노인이 힘겹게 발걸음을 옮긴다. 강추위 속에 반짝 나온 햇살을 맞이하기 위해서 언덕 위에 마련된 쉼터를 찾아가는 길이다. 팔순쯤 돼 보이는 노인의 걸음이 그가 살아온 삶의 무게만큼 무겁다. 푸조나무의 텅빈 나뭇가지가 지어낸 가느다란 실 그늘이 노인의 힘겨운 발걸음을 가만가만 따른다. 부산 수영동 좌수영성지 푸조나무의 겨울 한낮의 풍경이다. 옛 이름인 좌수영성지보다는 수영사적공원이라고 더 많이 알려진 이곳은 주변 경관이 아름다워 부산 시민들이 자주 찾는 편안한 공간이다. 그러나 평일 한낮이어서인지, 여느 공원과 마찬가지로 공원 안에는 해바라기 나온 노인들뿐이다.

좌수영성지는 조선시대 경상도 동쪽 바다를 지킨 경상좌도의 수군절도사가 머무른 좌수영성이 있던 곳으로, 성벽의 흔적과 성문이 남아 있다. 처음 성을 쌓은 때는 알려지지 않았고, 현재의 성곽은 숙종 18년(1692)에 다시 쌓은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사람들은 모두 떠났으나 여전히 성터를 지키며 살아남은 생명이 있다. 500살 된 천연기념물 제311호의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다.

이미지 확대
근육질로 발달한 줄기 위로 덧쌓인 세월의 더께가 생명의 함성처럼 살아남았다.
근육질로 발달한 줄기 위로 덧쌓인 세월의 더께가 생명의 함성처럼 살아남았다.
●남부의 해안지방에서 잘 자라는 나무

푸조나무는 중부지방에서는 볼 수 없지만, 남부의 해안지방에서는 느티나무나 팽나무처럼 정자나무로 심어 키우기 때문에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다. 이름에서 이국적인 느낌을 풍기지만, 엄연한 우리 토종 나무다. 바닷바람을 잘 견뎌 바닷가의 방풍림으로도 많이 심어 키운다.

좌수영성지 푸조나무는 그의 나이를 감안할 때, 이 자리에 성을 다시 쌓았던 임진왜란 이후쯤에 심은 나무로 짐작된다. 물론 당시에는 성곽 안팎으로 더 많은 나무를 심었을 것이다. 그들 가운데 어떤 나무는 제 명을 다해 저절로 스러지기도 했고, 또 어떤 나무는 사람의 필요에 의해 베어지기도 했을 것이다.

모진 500년 세월의 풍파를 거뜬히 이겨내고 옛 사람들의 이야기를 알알이 담고 있는 푸조나무는 이제 키가 15m를 훌쩍 넘었다. 수천개의 나뭇가지는 그 펼침이 사방으로 20m가 넘어 보인다. 여느 생명체가 감히 넘보기 힘든 거대한 규모의 이 푸조나무는 마을의 안녕을 지켜주는 지신목이다. 뿌리 부분에서부터 줄기가 둘로 갈라지며 솟아올라서 마치 두 그루의 나무가 비스듬히 서서 정담을 나누는 듯한 모습이다.

“오래된 공원이니, 오래된 나무가 많은 건 당연하죠. 이 푸조나무 말고 언덕 너머에는 천연기념물 곰솔도 하나 더 있어요. 또 천연기념물은 아니지만, 오래된 나무도 아주 많아요. 이 숲에 불어오는 바람이 좋아서, 여름에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죠.” 큰 바위처럼 웅크리고 있는 푸조나무에 한창 눈을 맞추는 사이에 마침 운동하러 나온 이 마을 중년 사내가 짐짓 공원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낸다. 유서 깊은 마을임을 증거하는 나무 이야기를 특히 강조한다. 그의 이야기처럼 수영사적공원에는 푸조나무 외에도 팽나무, 소나무, 곰솔 등 오래된 나무가 많이 있다.

●바위처럼 웅크리고 새봄을 기약

“하루하루 살기 바쁜 지금 사람들이 옛날 일이나 나무를 중요하게 돌볼 틈이 있겠어요? 제 살기 바쁜데, 어쩔 수 없죠. 나무랄 수도 없고요. 하지만 이만큼 큰 나무는 사람이 보살펴 주지 않아도 스스로 잘 자라지요.”

살아 있음의 흔적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겨울나무를 바라보는 중년 사내의 눈길에 담긴 건 생명에 대한 믿음이었다. 수천개의 가지들에 달렸을 수백만장의 나뭇잎을 모두 떨어뜨리고 바위처럼 웅크리고 있는 푸조나무는 그렇게 사람에게 생명의 신뢰를 건넸다. 그의 속살 깊은 곳에서 새봄에 다시 돋아날 새잎을 틔워가는 생명력이 생생하게 느껴질 만도 하다.

생명 그 자체로서보다는 생명을 부드럽고 친절하게 환기시키는 생명체로서 한 그루의 늙은 나무가 혹한의 겨울에 사람에게 건네주는 무언의 가르침이다.

글 사진 부산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gohkh@solsup.com

>>가는 길 부산 수영구 수영동 271. 혼잡한 도심에서 한 그루의 나무를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으나 좌수영성지 푸조나무는 부산시청에서 4㎞ 남짓 떨어진 ‘수영사적공원’ 안에 있어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시청 앞 삼거리에서 동쪽으로 난 연제로를 따라 3.2㎞ 가면 부산지하철 망미역 앞 오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여덟시 방향으로 좌회전하고 곧바로 주유소 뒤편으로 우회전하여 500m만 들어가면 수영사적공원 주차장이 나온다. 갈림길마다 나오는 안내판을 따라 가면 된다.
2011-01-27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