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73) 대구 도동서원 ‘김굉필 나무’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73) 대구 도동서원 ‘김굉필 나무’

입력 2012-04-05 00:00
업데이트 2012-04-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방오현’ 김굉필의 얼 깃든 400년 서원지킴이

나무와 더불어 사는 평화롭고 아름다운 땅을 만들자는 뜻에서 정한 기념일, 식목일이다. 처음 지정한 60여년 전에 비해 많이 달라진 기후 탓에 날짜를 앞당겨야 한다는 논의도 있지만, 아직은 그대로다. 굳이 나무를 심어야만 하는 게 아니라, 나무를 사랑하는 마음을 되새겨 보는 날로서도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나무를 사랑하고 보호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보호할 가치가 있는 나무를 골라 보호수로 지정하는 산림청 방식이 있는가 하면, 살아 있는 생물로서 최고의 지위라 할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는 문화재청 방식도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자발적으로 추진하는 독자적 방법도 있다. 그 가운데 대구광역시의 나무 보호 방법은 유난히 눈에 띈다.

이미지 확대
사람의 이름을 얻어 선조의 얼과 함께 지켜진 대구 달성 도동서원 ‘김굉필 나무’의 위용.
사람의 이름을 얻어 선조의 얼과 함께 지켜진 대구 달성 도동서원 ‘김굉필 나무’의 위용.


●나무에 스쳐간 옛 사람의 자취를 찾아

“2002년이었어요. 당시 녹지과장이던 이정웅 선생님이 아이디어를 내셨지요. 사람과 더불어 오래 살아온 생명체이니, 나무에서 선조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보호 방법을 찾아보자는 생각이었어요. 나무를 스쳐간 옛 사람들의 삶을 찾아내 나무에 새기고, 지역을 빛낸 선조들의 업적도 기리자는 거죠. 나무를 보호하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겠지요.”

대구시청 공원녹지과의 이재수(29) 주무관은 10년 전 특별한 방법을 찾아내던 상황을 생생히 기억한다. 그는 그때에도 지금처럼 녹지과에 근무했다.

달성군 도동서원 대문 앞에 우뚝 선 커다란 은행나무가 ‘김굉필 나무’라는 이름을 얻은 것도 그때였다. 도동서원을 처음 지으면서 심은 이 나무는 서원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그저 ‘서원목’(書院木)으로만 불리던 도동서원 지킴이 나무였다.

나무의 이름이 된 김굉필(宏弼, 1454~1504)은 서울 태생이지만 청소년기를 대구의 현풍 지역에서 보낸 인물로, 고려의 정몽주에서 조선의 김종직으로 이어진 성리학의 정통성을 지킨 사림(士林)세력의 중추였다. 연산군 재위 시절인 1498년에 신흥 세력을 경계하기 위해 훈구파들이 일으킨 무오사화에 연루돼 억울한 죽음을 당하기 전까지만 해도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대학자였다.

그는 중종 반정(反正)으로 조광조가 정치세력의 중심으로 등장하면서 복권되어 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과 함께 동방오현(東方五賢)으로 추앙됐고, 대구 지역 정신사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선조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도동서원은 그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외증손인 예학자 정구(鄭逑, 1543~1620)가 세운 400년 전 건축물이고 서원 앞의 은행나무는 완공을 기념하여 정구가 손수 심었다.

●대구 지역을 빛낸 인물과 나무의 만남

“대구시를 빛낸 인물들과 또 대구를 대표할 만큼 훌륭한 나무를 함께 찾았지요. 인물과 나무의 연관성을 찾은 뒤에는 향토사학자를 비롯해 해당 인물의 문중 어른들께 꼼꼼한 심사를 부탁했지요.”

이 주무관의 이야기대로 치밀한 고증 과정을 거쳐 사람의 이름을 얻은 대구시의 나무는 모두 24그루다. 식민지 시대의 화가 이인성이 그림으로 표현했던 계산성당의 감나무에는 ‘이인성 나무’, 천년 고찰 동화사의 법당 뒤편에 서 있는 오동나무에는 이 절을 창건한 스님을 기억하기 위해 ‘심지대사 나무’라는 이름을 붙이는 방식이다.

이어 시청에서는 이 같은 나무들을 더 많이 알리고 지키기 위해 사연을 알기 쉽게 새긴 안내판을 세웠다. 안내판에는 디자인뿐 아니라 내용 등에도 세심한 손길이 닿았다. 여느 보호수 안내판과 달리 자세한 사연과 함께 나무와 관련된 정보 등을 알알이 적었을 뿐 아니라, 나무에 어울리는 단아한 디자인도 고려했다.

“기념할 만한 나무를 정한 뒤에 시민 답사단을 모집했지요. 참가자들은 나무를 보는 시각이 달라졌다고 입을 모았어요. 그동안 그저 문화재만 찾아보았는데, 이제는 문화재를 아름답게 하는 자연물까지 함께 감상할 수 있어 좋았다는 반응이었어요.”

도동서원과 김굉필 나무는 그런 점에서 더없이 맞춤한 선택이다. 도동서원 자체만으로도 조선 중기 서원의 전형을 갖춘 빼어난 건축물인 데다, 은행나무도 대구시는 물론이고 우리나라 전체의 은행나무를 대표하고도 남을 만큼 훌륭한 나무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손으로 지어낸 건축물과 그 곁에서 자라난 자연물을 동시에 관람할 수 있는 좋은 답사가 되기에 충분하다는 이야기다.

●땅바닥에 내려앉은 가지 풍경은 절경

25m의 큰 키에 줄기 둘레가 8.7m에 이르는 김굉필 나무는 사방으로 30m 가까이 나뭇가지를 펼쳤는데, 그 생김새가 예사롭지 않다. 특히 제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가만히 땅바닥에 내려앉은 남쪽의 굵은 가지가 펼쳐 보이는 나무 풍경은 가히 절경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북쪽의 큰 가지는 30년쯤 전에 부러졌다. 당시 부러진 가지를 치우기 위해 잘라내자 8t 트럭이 가득 찼다고 한다. 전체적인 균형은 깨졌지만, 그 바람에 오히려 비상하려는 몸짓이 느껴질 만큼 나무는 웅혼한 기상을 갖췄다.

그동안 사람들은 도동서원이 누구를 배향한 서원인지를 기억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서원 앞에서 ‘김굉필 나무’라는 이름으로 우뚝 선 은행나무를 바라보았다면, 도동서원과 김굉필과의 관계는 잊지 않을 것이다. 또 김굉필이라는 옛 선비가 대구를 빛낸 인물이었음도 자연스럽게 기억할 것이다.

서원을 지은 사람도, 나무를 심은 사람도 모두 떠났지만 한 그루의 은행나무는 이제 사람의 이름을 얻어 사람처럼 보호받으며 오래 살아남을 것이다. 나무를 사람처럼 보호하려는 대구시의 독특한 나무 보호법이 유난히 고마운 식목일이다.

글 사진 대구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gohkh@solsup.com

가는 길


대구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 대구시의 서쪽에 자리잡은 도동서원에 가려면 중부내륙고속국도의 현풍 나들목으로 나가서 우회전한다. 700m쯤 가면 오른쪽으로 저수지가 나오는데, 그 옆으로 난 도로로 나간 뒤 다시 저수지를 끼고 우회전한다. 4.5㎞ 가면 낙동강변을 따라 이어지는 제방이 나온다. ‘도동서원’을 알리는 교통안내판에 따라 우회전한다. 다람재라는 이름의 그리 험하지 않은 고개를 넘으면 낙동강이 내다보인다. 고개 넘어 만나게 되는 첫 마을에 도동서원이 있다. 나무는 서원 대문 앞 너른 마당에 있다.

2012-04-05 20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