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손현주의 계절 밥상 여행] 싱싱한 제철 재료 가득한 밥상… 세계가 주목할 장수·건강 식단

[손현주의 계절 밥상 여행] 싱싱한 제철 재료 가득한 밥상… 세계가 주목할 장수·건강 식단

입력 2013-01-17 00:00
업데이트 2013-01-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순·간단한 제주음식

배추를 손으로 우두둑 분질러 넣고 된장을 심심하게 푼 국. 비늘과 내장 그대로 토장을 찍어 먹는 쉬자리(작은 자리). 멸치젓 쌈 싸 즐기는 양애와 콩잎. 각종 물회, 해산물 죽들….

제주 요리는 단순하다. 일에 쫓겼던 제주 여인들의 고단한 ‘생’이 밥상에 그대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별 양념 없이 된장을 풀거나 물을 부어 날것으로 간단하게 먹었다. 쌀 재배가 쉽지 않아 잡곡이 주식이었고, 울안에는 사철 푸른 우녕밭(텃밭)이 있었다. 몇 걸음만 나가면 산과 바다가 있으니 신선한 제철 재료가 그대로 밥상에 올라왔다. 전 세계가 주목하는 슬로 푸드의 핵심 ‘로컬 푸드 0㎞’가 그대로 실현되고 있는 셈이다.

음식은 약이었다. ‘꽝’(뼈) 아픈데 겡이죽(게), 젖 부족한 산모는 아강발국(돼지족발), 홍역과 기침에는 꿩엿 등 민간요법이 음식 속에 그대로 배어 있다. 게다가 ‘자낭’(절약)과 ‘수눌음’(품앗이) 문화는 ‘돼지 한 마리 잡는 데 물 한 허벅’이라고 할 정도로 극도로 아끼면서 돼지고기 삶은 물까지 몸국을 끓여 먹을 정도로 버리는 것이 없었다. 쉰 보리밥조차 재활용했다. 누룩을 넣어 발효시킨 것이 대표적인 기호식품 ‘보리쉰다리’다. ‘낭푼 밥상’은 제주식 나눔 밥상이다. 밥을 낭푼이라는 놋그릇 하나에 담아 밥상 가운데 두고 온 식구가 같이 먹었다. 제주향토음식을 연구하는 오영주 제주한라대 교수는 “제주는 기후나 토질이 본토와 달라 제주만의 에스닉푸드(민족음식)가 발달했다”며 “싱싱한 제철재료를 얻을 수 있는 우영 밥상이야말로 세계가 주목하는 장수식단”이라고 설명했다.



2013-01-17 1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